새로운 자본주의에 도전하라 - 영악한 자본주의 뒤집기
전병길.고영 지음 / 꿈꾸는터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그동안 우리는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엄청난 부의 폭발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자본이 세상을 지배하는 세상에서 그 자본주의 시스템에 역행하고서는 존재의 가치가 없을 정도로 숨가쁘게 달려왔던 것이다. 물론 그 중간에 대공황이라는 호된 홍역을 거쳤지만 케인스라는 중간계투의 등장으로 일대의 위기를 극복하면서 영국의 대처와 미국의 레이건으로 대변되는 신자유주의라는 마무리 투수로 하여금 자본주의 시스템에 종지부를 찍는 듯이 보였던게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난공불락의 자본주의 시스템에 미국발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가 다시 혼돈의 시대로 몰아가고 있다. 

100점 만점이라고 생각하면서 제출했던 답안지의 검토결과 의외의 성적표를 받아는 지금의 우리에게 새로운 자본주의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새로운 자본주의에 도전하라>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의 성격에 대한 생각에서 부터 흔희들 우리가 알고 있는 기부에 까지 다방면에 걸쳐 현 자본주의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금은 약간은 낯설지 않는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자료와 그들의 역활을 보여주므로서 암흑일보직전의 우리에게 한줄기 희망의 빛을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필자는 그동안 사회적 기업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이러한 개념을 처음 접하는 독자나 어렴풋이 알고 있는 독자들에겐 상당한 길라잡이 역활을 독톡히 하고 있다. 

사실 데이비스 본스타인의 <달라지는 세계>를 통해서 처음으로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개념을 알게 되었다.  사회적 기업가(社會的 起業家, entrepreneur)는 원래 프랑스어로 '무엇인가를 떠맡은 사람'이라는 뜻에서 기원을 가지고 있다. 즉 낮은 영역에서 나온 경제자원을 보다 높은 영역의 자원으로 전환시키는 사업을 일으키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해서 창조적 파괴자라고도 불릴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그 아이디어을 현실에 적용시키는 이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는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속에서 소외된 이들을 위해서 공공의 목적을 가지고 지속적인 아이템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엄연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일종이라고 보면 타당할 것이다.  

그동안 올바른 의식을 가진 일부 다국적기업들은 기부 내지는 자선이라는 형태로 성장일변도의 전략에서 분배쪽으로 기업전략을 전환하여 자사의 브랜드와 매치시키는 마케팅을 구사하면서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형식을 취해왔다. 그나마 이러한 자선이 도움이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소극적인 자선의 형태를 벋어 나서 좀더 적극적으로 소외계층에 다가가는 방법이 대두되기 시작했고 그 중심에 사회적 기업가들이 있다. 

사회적 기업가의 역사를 보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상당한 내력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실정은 걸음마 단계이다. 그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홍보 부족과 일반 소비자들의 인식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 소외층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과 나눔과 분배의 경제학에 대한 무지로 인해 우리의 사회적 기업은 극히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회적 기업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고취시키고 성장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는 일반 소비자인 우리들의 정신적인 일대 혁명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공급위주의 시대가 아닌 소비자가 우위에 선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올바른 소비가 오히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창출과 지원에 힘들 보태주는 시대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윤리적 소비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 책임 쇼핑(Socially Responsible Shopping)을 통해서 지역공동체, 환경, 노동, 여성,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소비를 권장하는 것이다. 실례로 환경파괴나 여성 아동의 노동력 착취로 수익을 올리는 기업의 상품을 불매함으로서 그 역활을 할 수 도 있지만 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옥석을 가리는 일에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록 이러한 소비나 재물의 기부가 없이 자신만의 특출한 지식이나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책임(Pro Bono Publico)에 일조를 하는 방안도 있다. 

그동안 자본주의 시스템은 성장일변도로 앞만 보고 달려왔다. 무수한 시행착오을 거치면서 성장을 해왔지만 이제 서서히 그 시스템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홀로 성장의 개념이 다 함께 하는 위코노미(WEconomy)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선한 목적을 가진 수익창출형 나눔, 윤리적인 소비를 통한 나눔, 현금이나 현물이 아닌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의 나눔을 통는 생각이 든다. 자연에 생태계가 있듯이 비즈니스 세계에도 엄연하게 생태계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최하층의 지지기반없는 먹이사슬은 결국 전부 공멸할 수 밖에는 없는 것을 모른것은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