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드라마 한 장으로 보는 지식 계보도 1
최복현 지음 / 풀로엮은집(숨비소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한장으로 보는 그리스 신화 계보도 - 
 

한장으로 보는 지식계보도 시리즈물 중 첫번째 작품인 <신화드라마>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그리스신화와 관련하여 신화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신들 그리고 그 신들의 탄생과정과 부모/형제/자식간의 관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마치 왕조의 계보도나 개인집안의 족보처럼 체계화하였다는 점에 점수를 주고 싶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신들의 제왕 제우스 그리고의 그의 누이이자 아내인 헤라을 중심으로 한 올림푸스의 12제신들의 생생한 출생 비화와 그들의 자손들과 맡은 임무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신들의 일대기를 책 한 권으로 압축시켰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신들의 출발점을 태초의 카오스에서 시작한다. 우리에게 혼돈이라는 의미로 알려져 있지만 진정한 신들의 아버지이자 어머니가  바로 카오스이다. 또한 신들은 생명은 무한하기 때문에 지금도 태초의 신 카오스는 존재하고 있다. 카오스속에 카오스와 가이아를 통해서 생성된 모든 신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우주라는 거대한 품을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듯이 신들 또한 카오스의 존재를 모르고 살아왔던 것이다. 카오스를 출발점으로 한 신들의 계보는 크게 4세대로 구별하고 있다. 카오스을 제1세대, 기이아와 우라노스의 결합으로 생겨난 신들을 제2세대 익히 우리가 알고 있는 티탄이라는 거대하고 흉측한 신들이다. 그리고 아버지인 우라노스의 성기를 자르고 제왕에 등극한 크로노스와 레아사이에 태어난 신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제우스, 하데스, 포세이돈, 헤라등 신들을 제3세대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제4세대는 제우스와 형제자매들의 자손들 통칭해서 일컫는다.  

또한 그리스 신들은 세대격차와 그에 따른 권력의 투쟁의 과정에서 4번에 걸친 전쟁과 내부 쿠테타를 거치게 된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여기라고 본다. 신들과 인간과의 공통점이라고 할까 필자는 서두에서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를 언급하면서 신의 존재에 대한 일말의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름을 불렀을때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듯이 이러한 신들은 인간이 만들어낸 부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이름을 불렀을때 비로소 신들의 진정성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아마 우리가 그리스 신화를 접하다 보면 신들의 가장 공통점중에 하나가 우리의 인간과 너무나 너무나 많이 닮아 있다는 것이다. 정의,유혹,절망,질투,배신등 어쩜 그리 인간의 복사판인지 모른다. 이것이 바로 신들을 다름아닌 인간이 만들어냈다는 증거인 것이다. 신들을 통한 대리만족이라고 할까 아니면 신들을 통한 정당성 확보라고 할까. 아마도 신들과 우리인간은 공생하는 관계였을 것이다. 또 하나의 나의 모습을 신은 인간을 통해서 인간은 신을 통해서 바라보지 않았을까? 

<신화드라마>는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비중있는 신들에서 부터 그다지 관심을 끌지 못하는 신들에 이르기까지 신이라는 피가 섞여있는 모든 신들을 망라하고 있다. 한마디로 신들의 백과사전이다. 거기에 다 덤으로 아테나왕가, 탄탈로스왕가, 헤라클레스가계, 미노스왕가, 데베왕가, 트로이왕가등 신의 핏줄을 이어 받았다고 하는 후예들이 세운 나라의 계보까지 보여주고 있어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주고 있다.  

우리가 신화를 접하고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저 신들의 얄궂은 장난이나 운명처럼 전개되는 이야기에 매료되어서 읽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신화는 다름아닌 우리인간들이 공통된 기억과 경험을 신이라는 대리인을 통해서 표체화한 서사시이다. 당시 인간들의 공동체가 향유했던 가치관의 집결체였던 것이다. 그래서 신화에는 문화와 철학이 들어있는 것이다. 신들의 이야기이면 이러한 요소들이 가미될 이유가 하등에도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스 신화를 포함한 세상의 그 어떠한 신화가 오래 세월을 흘러도 변함없이 사랑받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