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역사를 상고하는 방법은 다양할 것이다. 편년체식의 년대순으로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방법도 있고, 역사적 한획을 장식한 사건을 중심으로 당시의 역사를 살펴보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역사상고방식에서 특히 역사인물의 발자취를 따라잡는 방법은 한 인간을 중심으로 역사를 상고하는 방법이라 그 재미가 솔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그대는 적인가 동지인가> 는 이이화선생의 인물로 읽는 한국사의 대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저작은 역사의 한페이지를 장식하게 되는 라이벌 관계의 인물을 고찰함으로서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이들 인물의 개인적인 신념이나 성향에서 정치적 입장까지 두루걸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곡해하고 있었던 사실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이러한 면들때문에 역사의 주역이 사람에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지 않을까 한다. 이번 책에 나오는 역사적 인물들을 살펴보면 한국사에서 이들을 빼놓고선 역사를 논단할 수 없을 만큼의 비중있는 인물들이다. 특히 각자의 개인적인 신념과 정치적인 노선의 색깔이 아주 강렬한 이들로 자기방식대로 시대에 순응하였고 국가에 충성을 다한 인물들이다. 그러다보니 때론 영원히 치유할 수 없는 적을 만들고 때론 죽음까지 같이 가는 영원한 동반자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의 공통점은 무엇보다 자기신념이 강한 자들이다. 그러다보니 자신이 추구하는 노선이외의 주장에 대해서는 그 어떠한 논리로도 그들을 승복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 이는 결국 라이벌관계에 있는 당사자 사이를 극한의 관계로 이르게 한다. 아마도 그 대표적인 인물이 정도전과 정몽주일 것이다. 또한 김춘추와 김유신같이 이와 잇몸의 형국을 가지고 한 시대를 이끌어갔던 이들도 있다. 눈빛만 봐도 그 뜻을 알 수 있을 만큼 그들은 공통된 목표를 향해서 그 뜻을 같이 하여 역사에 길이 남게 된 경우이다. 이렇듯 역사는 양극단의 라이벌들을 양산해 놓고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을 이제는 수정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극히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어떤이가 正이고 어떤이가 不라는 식의 역사적 시각은 역사자체 내지는 그 인물에 대한 인식에 왜곡을 가할 소지가 많은 것이다. 결국 이들 또한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다는 점,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고 평가해야 할 것으로 본다. 자칫하면 이러한 시각은 역사평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분법적인 시각과 왜곡된 사관의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김종직과 유자광, 이순신과 원균이지 않을까 한다. 조선성릭학이 대부격인 김종직과 간신의 대명사인 유자광, 조선을 구한 성웅 이순신 그리고 그의 전과를 폄하하고 방해했던 원균이라는 극한적인 평가가 사실 그 내막을 들여다 보면 과연 진실이었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물론 그렇다고 김종직이나 이순신을 폄하하자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단지 그들 또한 우리와 똑같은 인간이었다는 점, 그래서 개인적인 감정의 조절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에 역사인물을 통해서 바라보는 역사가 더 흥미롭게 다가오는 것 아닐까. 하지만 그동안 우리에게 주입된 역사관은 권력층의 지배논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조선의 경우 성리학의 대부인 김종직에 대한 평가가 과대포장 되었던 것이고 근현대에 이르러 독립투쟁과정과 군사정권하에서 이순신이 부각된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이러한 시각이 지금까지도 지배적인것 역시 사실이다. 우리가 역사인물에 대한 접근은 이렇듯 편협되고 왜곡된 시각으로 바라보면 항상 제자리 걸음밖에 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은 분명 한 시대를 풍미했고 후세에 그 영향을 끼친 영웅들이었다. 그러나 역사적인 인물이기 이전에 그들 또한 우리가 다르지 않는 평범한 인간이었다는 점을 생각하고 이들을 바라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인물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긍정적이고 부정적이었던가를 역사가 말해주는 것이다. 우리가 이런 시각에서 그들을 다시 바라보게 되면 그이면에 숨겨져 있는 그들의 고뇌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