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 1 - 인류의 기원에서 고대 제국까지 생각이 자라는 나무 13
W. 버나드 칼슨 지음, 남경태 옮김, 최준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선 책 제목자체만 보더라도 상당히 파격적이고 약간의 상식을 뛰어넘는다. 다름 아닌 역사서적으로서 <말랑하다> , <쫀득하다>라는 표현이 왠지 가볍게만 보이는 선입관을 준다. 하지만 막상 책의 첫페이지를 통해서 책을 읽다보면 왜 이런 제목을 붙였는지에 대한 이해가 금방오는 역사서이다. 대체로 역사서는 좀 지루하고 딱딱한 서술이 많은 분야임에 틀림없다. 세계사의 경우 그 양의 방대함으로 인해 자치하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도 왕왕있다. 특히 청소년시절 학업의 연장으로 연대순으로 주요사건과 주요인물위주의 암기식 교육에 익숙한 우리에게 더욱더 세계사라는 분야는 재미없는 분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런측면에서 이번 책의 경우 상당히 진일보한 역사서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역사서로는 드믈게 각종 연대표와 참고사진 및 그림들이 풍부하여 사실 이러한 일러스트들만 유심히 봐도 세계사의 맥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만큼 적절한 배열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흔히 기존의 세계사를 보면 우리가 익히 보아왔던 몇점의 그림을 수록하는 것이 관례였지만 이번은 마치 세계사를 다룬다는 것 보다 한권의 백과사전을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그 만큼 단순히 연대순으로 모년 모월에 누가 어떤 일을 했다는 일을 기억하지 않으면 더이상 진도를 나갈수 없는 그런 역사서적이 아니다. 그 당시 인류가 살았던 과정을 문명이라는 잣대에 맞추어서 인류의 발전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문화속에 표현되어 있는 세계사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당시인들이 사용했던 도구와 의복 그리고 장신구 및 무덤등을 통해서 인류문명이 어떻게 발전했고 그리고 그런 이면에 담겨져 있는 역사를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런면에서 단순한 역사서가 아닌 인류문화사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된 세계사 서술인 것 같다. 

특히 기존의 세계사의 저술의 관점은 서구 중심의 역사였다. 당초 세계 4대문명의 발상지축에 끼지도 못했던 서구가 그리스-로마문명의 모체 탄생하여 로마제국의 영향과 기독교의 영향으로 인해 주도권을 잡은 이후로 전개되어온 사고의 편향이 대부분의 세계사 서술에 그대로 적용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세계사에서 차지하는 동양의 역사는 극히 미진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면에서 이번 책의 경우 동양사에 대한 서술의 비중과 자료들이 기존의 역사서보다는 뛰어나다고 볼 수 있는 특징 있다. 인도와 중국문명을 다루는 부분에서 기존 서구인들이 간과한 면(서구우월주의적 시각)들을 소상하게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적으로 역사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반향을 주고자하는 필자의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편년체식의 역사주입을 떠나 세계사를 한눈에 쉽게 그러면서도 깊이감이 떨어지지 않게 인식할 수 있는 책이다. 우리가 역사를 바라보고 연구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은 무슨사건이 어떻게 일었나고 어떻게 진행되었는가하는 점도 중요하겠지만 결국 그 당시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이 어떻했으면 그러한 일련의 파편들이 모여서 역사를 구성했다는 것을 알기 위함일 것이다. 역사라는 것은 큼직한 사건도 있지만 인간사의 세세한 부분이 모여서 역사를 이룰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