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미셀러니 - 와인에 관한 비범하고 기발한 이야기
그레이엄 하딩 지음, 차재호 옮김 / 보누스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에서 말해주듯이 와인에 관한 신변잡기 형식의 에세이이다. 와인에 관한 거의 모든것의 역사를 담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나처럼 와인에 대해선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정도의 구별밖에 못하는 문외한들에겐 와인 지식寶庫와도 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뭐 이렇게 단어하면 과장이 심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 한권으로 와인에 대한 어지간한 지식이나 주변 이야기는 마스트할 수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 만큼 와인과 그에 관한 이야기가 너무나도 많이 담겨져 있다. 어찌 보면 시시콜콜한 신변잡기같기도 하지만 유심히 읽어보면 왜 와인에 대한 이런 이야기를 필자가 들려주는지 어렴풋이 알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와인이 가지고 있는 술이라는 자체의 힘이 아니라 문화의 힘을 말해준다고 본다. 

와인의 역사에서 부터 와인의 종류, 그리고 제조방법, 음미하는 방식등을 비롯하여 와인에 얽혀져 있는 이야기 및 알려지지 않는 와인이야기들을 말해주고 있다. 사실 와인에 대해 무지한 나에겐 흥미롭고 새삼 고개를 끄득이게 하는 책인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한때 우리에겐 차별화 된 계층들의 호기로만 여겨졌던 와인이지만 이제는 보편적인 술로 우리에게 다가와 있다. 그것은 아마도 와인이라는 술의 특별함이나 그 미각때문이라 아니라 와인의 표방하는 문화적 체험을 이제는 우리도 받아들일수 있는 수용력이나 보편성등이 예전에 비해 많이 진보되었다고 해야 할것이다. 작은 범주에서의 문화란 이처럼 와인이라는 단일한 매개로 인해 새로운 문화가 창출되는 것이고 그 문화가 전파되는 것일 것이다.  

또한 그러한 문화는 이질적인 타문화에 또 다른 형태의 문화로 녹아들어가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이 와인에 대한 신변잡기의 내용들을 필자의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관점에서 논하고 있지만 큰 맥은 그런 와인이 가져다 주는 문화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지금의 뉴욕이나 파리의 세계도시에 이르기까지의 와인의 역사는 바로 그 문화와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권력을 상징하는 와인에서 문예부흥이나 계몽주의 상징인 와인으로 그리고 인간의 자유를 상징하는 와인으로 그 면면을 이어 오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와인을 마신다는 것은 결국 와인 그 자체의 향이나 맛을 느낀다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와인이 가져다 주는 문화를 느끼는 것일 것이다. 누구에겐 사랑일 것이고, 또다른 누구에겐 희망일 것이다. 이 처럼 한잔의 술이 세계적으로 문화적 가치를 가질수 있는 것 또한 와인이라는 독보적인 존재가 있어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