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인의 왕후들 - 당당하게 절대 권력에 도전했던 왕후들의 이야기
이수광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선을 뒤흔든 16가지의 살인사건과 연애사건의 저자인 이수광님의 새로운 저작이다. 이번 역시 팩션의 요소를 가미하여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역사를 보다 흥미롭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필자의 노력이 엿보인다. 여태까지 역사는 남성위주로 서술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성리학이 국본이었던 조선시대의 경우 철저하게 남성위주 그중에서 군주위주의 역사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조선 역대 대표적인 16인의 왕비들의 삶을 재조명하면서 사초의 부족한 부분과 당시 정치적인 상황을 팩션을 가미하면서 독자들에게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해준다. 

여성들이 얼마나 역사에서 소외되었는지는 조선왕조실록만 봐도 알 수 있다.  조선의 개국자인 태조 이성계의 정비인 신덕왕후 강씨 그녀는 어찌보면 조선개국의 일등공신이었지만 역사적인 기록은 전무할 정도이며 비록 기록상에 나타나는 면도 상당히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물론 태종의 집권에 의한 정당성 부여와 관련이 있지만 일국의 국모인 왕비들 마져도 역사의 제대로 된 평가내지는 그 역활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이러한데 일반 여성들에 대한 평가는 두말할나위가 없는 것이다. 

이 책은 조선의 국모 16인의 삶과 정치적인 여정을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 집필을 했다. 첫째, 조선의 정치적인 대격변기에 놓여 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시대를 살아간 원경왕후 민씨, 소헌왕후 심씨, 효의왕후 김씨, 명성황후 민씨를 통한 그 당시 군주들의 정치적인 행보를 옆에서 보좌하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조언을 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자 하였던 왕후들이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군주의 나라였지만 어린나이에 보위에 오른 군주들의 올바른 정치수업을 위해서 수렴청정이라는 제도를 통해 직접 정사에 간여한 왕후들이다. 대표적인 인물로 문정왕후 윤씨, 정순왕후 김씨와 왕비는 정치에 관여할수 없다는 불문율을 깨고 차기대권의 선택등을 통한 직접적인 정치행보를 행한 왕비들도 존재하고 있다. 셋째, 개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비극적인 운명을 살다가 간 왕후들이다. 단종비인 정순왕후 송씨, 경종비 선의왕후 어씨, 인조비 장렬왕후 조씨등의 삶을 통해서 정치적 비극이 국모인 왕비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지대한지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왕과 왕비도 권력을 떠나선 사람임에 틀림없듯이 왕비들의 개인 비극사 또한 많았던 것이 조선시대였다. 대표적인 인물이 연산군비인 신씨, 성종비 폐비윤씨, 정종비 단경왕후 신씨와 숙종비 희빈 장씨의 삶을 통해서 한 남자만 바라봐야 했던 구궁궁궐속 여인들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왕비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역시 신분에서 자유로울수 없는 점을 알 수 있다. 일국의 국모라는 자리는 왕을 보필하면서 내명부의 위계질서를 바로 잡아야 하고 유교에서 천명한 일부종사와 칠거지악에 대한 잣대에서 왕비라고 해도 피할수 밖에 없는 그런 삶을 살아갔다. 더욱이 친정이라는 가문의 영광을 위해서 어떠한 부침에도 내색을 할 수 없는 고단한 삶을 살아갔던 것이다. 왕비는 있어도 딸이나 어머니는 없었던 것이다. 인조비인 장렬왕후 조씨의 경우를 보면 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왕비의 비극이 얼마나 큰 짐이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자신의 선택이 아닌 가문이나 정치적인 선택으로 왕비가 되고 또한 왕비가 되어서도 정치적인 문제로 폐비가 되듯 조선 왕비들의 위치는 말이 국모였지 정치적 산물인 경우가 허다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태종비 원경왕후 민씨와 정조비 효의왕후 김씨, 마지막 왕후인 명성황후 민씨등은 왕비라는 직잭을 제대로 인식한 왕비들이었다. 정치의 전면에 나서지 않으면서 적절한 조언과 보좌로 때론 강력한 후원으로 왕과 정치적인 동반자 역활을 수행했던 왕비들이었다. 하지만 이런 중도의 길을 벗어나게 되면 역사적 평가는 아주 냉혹해 지게 된다. 문정왕후 윤씨나 정순왕후 김씨를 통해서 왕비의 역활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생각을 가지게 한다. 

선의 왕비들의 삶을 보게 되면 개인적으로 기가막힌 사연들도 많이 있고 안타까운 일들도 많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역사는 개인적인 면을 부각해서 그들의 삶에 대한 일말의 동정을 하지 않는것이 사실이다. 어찌보면 역사의 선택은 그런 개인의 삶이 아닌 일국의 국모로써의 삶만을 선택하는 것이 역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개인의 삶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던 왕비들의 삶을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한번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역사적인 사초의 절대부족으로 인해 당시 시대적 상황에 대해 다소 팩션의 부분이 많이 가미되었지만 이 또한 크게 왜곡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그 당시 그녀들의 생각을 넌즈시 이해할수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