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 노벨과 교육의 나라
박두영 지음 / 북콘서트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노벨과 교육의 나라 스웨덴


웨덴 하면 노벨상이 절로 연상되는 나라이다. 또한 우리에게 익히 알려져있는 삐삐의 나라, 바이킹의 후손들, 그리고 월드컵이 열리면 만만치 않는 유럽의 복병정도로 알고 있다. 하지만 정작 스웨덴은 우리의 관심에서 살짝 벋어나 있는 유럽의 국가정도이외에는 별 다른 느낌을 주지 못한 나라이기도 하다. 단지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잘사는 선진국중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굳이 지금의 시점에서 스웨덴을 알아보자고 한 필자의 의도는 과연 무엇인가? 스웨덴의 GDP나 국민소득, IT투자비율, R&D비용이며 국민의 수와 정치제도, 사회보장제도등을 일일이 책 전면에 걸쳐 설명하고 있는 필자의 의도가 과연 무엇일까? 일종의 관광가이드같은 역활을 하는것도 아니고 특정 국가의 전반적인 소개서같은 느낌도 주지만 실상의 교육에 관한 필자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敎育百年之大計 라고 했던가 우리는 이런면에서 그동안 참 교육의 의미를 잊고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말처럼 백년은 아니더라도 50년 아니 10년앞도 제대로 보지 못한 교육을 자녀들에게 고집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러면에서 스웨덴의 교육제도나 정책, 그리고 교육에 대한 철학을 반면교사로 우리 현실을 되돌아 보게 하는 의도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노벨상의 의미는 정말 대단하다 노벨상을 받는 개인의 영광 뿐만 아니라 그 수상자를 배출하는 국가의 위상도 같이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진정한 학문이나 문학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을 배출하지 못한 우리에게 그 의미는 어쩌면 더 할 수 도 있다. 얼마전 일본은 장기적으로 노벨상수상에 대한 프로젝트를 세워서 상상을 초월하는 투자를 시행하고 과학강국으로 재도약하겠다는 해외 기사를 본것이 기억난다. 우리와 가장 인접한 국가이면서 아시아에서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배출한 일본이지만 아직도 갈길이 멀었다는 뜻에서 이런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된 것이다. 물론 노벨상이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척도는 분명아니지만 그 나라의 과학,문화,정치의 시금석이 되는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스웨덴은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 배출국가이다. 인구대비로 따진다면 그 순위는 더 높을 것이다. 우리는 아마도 노벨의 고국이기때문에 그럴 확률도 높지 않겠냐는 생각도 가질수 있지만 세상의 어떠한 상보다 공정한 것이 노벨상이라는것은 이미 알고 있다. 대체로 선진국이라는 나라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교육에 대한 확실한 정책이다. 단기간의 성과나 미래를 보는것이 아니라 정말 먼 미래를 보고 교육에 임한다는 것이다. 스웨덴도 이런한 맥락에서 지금의 대열에 서있는 것이다. 

교육의 초점을 노벨상이라는 것에 두어 노벨상수상자가 많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먼미래를 보고 투자했기 때문에 노벨상은 부수적으로 따라오는것이 아닐까 한다.  

지금 우리는 교육에 대해서 정말 많은 말을 한다. 선진국의 교육기법을 벤치마킹하는 것에서부터 우리만의 특색이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어느 누구하나 교육에 대한 문제에 열을 올리지 않는 이가 누가 있겠는가 그 만큼 그동안 우리의 교육제도는 엉망진창이었다고 해도 틀린말은 아닐것이다. 그런데 문제점을 다 알고 있으면서도 제대로 안되는 것은 무엇인가 아마도 먼장래를 보지 못하는 눈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보여주는 스웨덴의 무상교육방침이나 개인의 적성을 살리는 교육을 지금 당장 우리교육 현실에 적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아니 그럴수 없다는 것은 삼척동자라도 아는 사실이다. 단지 지금이라도 조금만 더 먼 미래를 보면서 교육에 임하자는 것이 필자의 의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올바른 교육은 현세대가 후손들에게 배푸는 자비가 아니라 반드시 이행해야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