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바로 살아라 - 신정일이 쓴 조선의 진보주의자들
신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똑바로 살아라


다시쓰는 택리지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재야사학자 신정일님의 신간을 접하게 되어서 무엇보다 반갑다는 마음이 앞섰다. 아직까지 학계를 비롯한 정통사학계쪽에서는 관심의 비중을 적게 두는 분야에 대해 이런 재야사학자들의 노고로 인해 역사의 또 다른 이면에 숨겨지고 잊혀진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어 더욱더 반가운것이다. 이번 저술은 조선시대 초기부터 구한말에 이르기 까지 정사에서는 외면당했던 대표적인 인물 12인의 삶을 재조명하여 그동안 정사에서 다소 부정적이거나 굳이 표현하자면 외면했던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볼 수 있어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 같다.

아웃사이더는 그 시대정신이나 패러다임에 융화하진 못한 이들을 지칭할 것이다. 그런 아웃사이더는 우리시대에도 존재하고 우리 이전 시대에도 존재하였던 것이고 다만 조선시대는 엄연한 유교정통주의 사회였고 군주의 나라였다는 점에서 이번에 열거된 인물들의 경우 그 면면이 정말 대단하다고 할 수 있겠다. 책 제목에서 말하듯이 똑바로 살아라 라는 것에 대한 정답은 과연 무엇일까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똑바로 산다는것에 대한 정의가 어떻게 사는것이 똑바로 사는 삶일까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갖게 한다. 우리가 흔히 시대정신에 맞게 사는 삶이 가장 올바르고 가장 편안한 삶이라는것은 누구라도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우린 이러한 평범한 삶과 미래가 담보된 삶을 살아갔던 이들보다는 시대정신에 온몸을 던져 저항했던 이들에게 더 많은 갈채를 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누구나 그런 삶을 꿈꾸고 있지만 못하기 때문에 대리만족에서 그런것일지도 모른다. 조선이라는 나라의 기틀을 거의 혼자서 만들다시피 했던 삼봉 정도전이나, 깨끗하고 도덕주의 정치를 내세웠던 정암 조광조, 여성으로서의 평탄한 삶을 거부하고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존재를 각인시킨 황진이등은 정말 그 시대가 요구하는 정신을 온몸으로 거부하고 자기만의 삶을 살아갔던 인물들이다. 후대의 역사에 와서 이런 이들을 매도할 수 있는 자 또한 과연 몇이나 있을까? 아마도 없으리라 여겨진다. 

똑바로 살아가는 삶이란 자기주장이 강하고 자기정신에 충실한 이들 한테 공통점으로 표현되는 삶일 것이다. 지금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똑바로 살아라는 일괄이 뜻하는 바가 매우 큰점 또한 이러한 맥락일것이다. 단 하루를 살아도 똑바로 살아라 이들이 후손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은 아니였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