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리스트: 전달자
장태일 지음 / 팬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제이리스트 : 전달자


무비픽션이라는 국내에선 다소 생소한 또 하나의 장르가 선보였다. 한마디로 영화의 등장인물, 배경, 장소, 소품등을 빌려와 소설의 일부인 것처럼 스토리에 가미하는 신개념의 소설인것이다. 좀더 쉽게 말하자면 각종 영화를 패러디한 영화같은 소설이라고 할 수 도 있지만 단지 패러디가 아닌 영화의 각 요소들을 소설 전개상의 흐름에 가미되어 마치 여러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소설 전체적인 맥락에선 스토리가 가장 주목받은 형식이다. 

미래의 영화가 없는 세상, 영화라는 것 자체가 인간들의 이성적인 판단을 헤친다는 그런 세상에서 영화는 그 자체만으로 불법이고 소각의 대상이자 금기의 대상인 세상에서 영화테아타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전달자에 관한 일종의 SF소설이다. 우선 소설에 등장하는 배경이나 미래의 운송수단과 권력집단은 우리가 각종 소설이나 영화를 통해서 한번쯤 상상할 수 있는 무대이다. 처음 이 소설을 읽게 되면 여태 봐왔던 영화의 추억을 따라 잡으면서 도통 스토리의 전개에 의구심을 가질 수 도 있지만, 중반부에 접어들면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면서 소설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나와 똑같이 복제된 또 다른 나를 죽여야만 하는 종반부에 가서는 왠지 서글픈 생각마저 들게 된다. 

소설에 나오는 영화를 전부다 보지 못한점이 이 소설을 읽은 내내 아쉬운 점으로 남게 된다. 차용된 영화들을 다 보았다면 이 소설의 재미가 한층 더 배가 될 것은 틀림없다. 포레스트 컴프의 도입부에 나오는 새의 깃털과 버스정거장의 벤치에서 자신의 살아왔던 여생을 친절히 설명하는 장면이나 제8요일의 주인공이 자기 목숨과 바꿀 만큼 좋아했던 초코릿에 대한 장면들은 소설을 읽는 동안 영화의 한 장면과 오버랩이 되면서 색다른 묘미를 주고 있다. 

그 동안 많은 소설을 접해봤지만 이번의 무비픽션이라는 장르는 신선한 장르를 여는 또 하나의 신호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을 보는 듯한 소설이지만 잊혀진 기억들을 마치 앨범속의 사진을 보듯이 책장을 넘기면서 새록새록 솓아나는 기쁨으로 승화시킬 수 있게끔 하는 작가의 정성이 보이는 작품이라 더 흥미로운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