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교향곡
조셉 젤리네크 지음, 김현철 옮김 / 세계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10번 교향곡

 


이 작품 또한 팩션장르의 일종으로 그동안 출판되었던 작품과 다른 점이라면 음악을 모티브로 선정했다는 점이다. 그것도 일반인들에겐 다소 생소하고 크게 다가가지 못하는 클래식음악을 주제로 했다는 점에서 색다른 반향이 있다. 악성인 루트비히 반 베토벤의 알려지지 않는 10번 교향곡(불멸의 연인)을 발견해 가는 과정을 한편의 영화처럼 속도감있게 다루고 있다. 흔히 알고 있듯이 베토벤의 교향곡은 제9번 합창을 마지막으로 작곡하고 베토벤은 사망하지만 대부분의 작곡가가 그렇듯이 후속작에 대한 여운을 남기게 되고 그러한 여운이 이번 작품의 주제로 다루어 지고 있다.

작품의 전체적인 줄거리 형성이나 이야기 전개방식은 지루함이 없고 속도감있게 탄탄하게 꾸며져 있어 단숨에 읽어 나갈수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별미는 다름아니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맘껏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악보에서 부터 교향곡 이나 세레나데, 협주곡등 그리고 음악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클래식에 문외한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끔 스토리 전개 중간 중간에 맛갈나게 삽입해서 이해를 도우고 있는 점 또한 다른 작품과는 차별화 된 듯 하다.

또한 베토벤의 교향곡에 단순하게 넘버링된 숫자이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운명, 황제, 합창이라는 별칭에 대한 유래에 대해서도 설명이 되어 있어 이 작품으로 베토벤의 음악세계에 대해서 전부 다는 아니지만 많은 부분을 알 수 있는 즐거움 또한 있다.

이야기 서두에 자동차 사고를 묘사하는 이유가 결국 이 작품의 대반전을 가져온다는 의미에서 눈치 빠른 독자의 경우 약간은 싱거울수 도 있지만 이야기 결말을 설명하는 단서이기도 하다. 약 200여년전 프랑스와 오스트리라 그리고 독일에서 꽃을 피웠던 클래식음악 그 중심에 베토벤이라는 대 음악가에 대한 아련한 향수도 느낄 수 있는 그런 작품이다.

흔희들 모짜르트와 베토벤을 종종 비교하는 경우가 있다. 모짜르트는 타고난 음악가였지만 베토벤은 정말 뼈를 깎는 고통을 딛고 성공한 음악가여서 아마도 대중들에게 더 사랑을 받는것 같다. 그의 남아있는 초상화를 보더라도 항상 고뇌에 가득찬 얼굴이며 우수에 빠진듯한 눈빛에서 그의 인간다움을 느낄 수 있듯이 그의 삶은 한 개인으로는 불행한 삶이었지만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은 인류가 존재하는한 우리들 곁에 항상 남아있을 듯 하다. 이 작품에 딸려 있는 CD를 들어보면 더욱더 그런 감정을 느낄 수 있는것 같다. 자신의 죽음을 눈앞에 두고 사랑하는 여인을 생각하면 작곡했다고 추정되는 마지막 교향곡이라서 그런지 왠지 그런 베토벤의 마음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기회로 클래식음악에 대해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작품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