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80 열하 1
임종욱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1790 열하
가히 팩션(팩트 + 픽션)의 전성시대이다. 팩션이라는게 역사적 이슈가 되는 사건을 중심으로 작가의 상상력을 가미하여 읽는이로 하여금 마치 그 현장에 와 있게끔 느끼게 하는 매력이 있는 장르이다. 이번 소설은 1780년 그러니까 정조4년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을 치하하는 사절단의 북행을 소재로 하여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진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의 내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열하일기에 감춰진 다른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소설로 재구성하였다.
연암의 열하일기에 나오는 인물들이 고스란히 등장한다. 연암자신과 정사, 부사, 서장관, 그리고 연암과 같은 입장인 또 다른 자제군관 정진사, 그리고 연암의 노복인 창대와 장복등이 두루 등장하고 청나라의 인사들 또한 등장하게 된다. 열하일기를 읽은 독자라면 내용파악이 더 수월하리라 본다.
단지 열하일기의 주인공은 연암이지만 이소설의 주인공은 정진사이다. 열하일기에서는 실제로 비중이 없는 인물로 등장하고 다소 의기소침하고 내성적인 인물로 묘사됐지만 소설상에는 정조의 밀명을 받은 그야말로 희대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설정 또한 남다른 재미일 것이다. 아마도 작가는 그런 열하일기의 정진사에 대한 묘사를 소설의 전제로 삼았는지도 모르겠다. 열하일기에서 너무나 비중이 없었던 인물이었기에 군주의 밀명을 받은 인물로 설정하기에 제격이었을 것이다. 사실 연암의 경우 청의 선진문화에 너무 심취해 있고 말이 많은 인사라는 느낌이 강한만큼 우직한 주인공으로 정진사가 딱 어울릴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역사가 말해주듯이 1780년을 시작으로 해서 중국의 청제국이나 조선의 국운은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다. 청의 경우 강희, 옹정의 뒤를 이는 건륭황제의 치세를 끝으로 제국으로 부르기엔 다소 무리가 있듯이 서서히 멸망의 길을 걸어가고, 조선의 경우도 20년 뒤 정조의 사망으로 사실상 조선이라는 나라가 해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그런 와중에서 정조나 건륭제나 두 뛰어난 군주의 머리속에 남아 있는 가장 큰 걱정거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 이 소설의 큰 맥락인것이다. 두 사람 공히 향후 세상을 변하게 하는 원인을 서방에 두고 있었다는 생각이다. 그런 면에서 양국의 절대군주는 건륭유보라는 가상의 조약에 조인을 하고 이 문서는 서태후을 마지막으로 청제국의 멸망과 동시에 세상에 묻히고 만다. 그 조약의 내용은 가히 핵폭탄같은 위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의 청제국의 후손인 만주족이나 조선의 후애인 대한민국이나 중국에게는 일대혼란을 가져 올 수 있는 문서인것이다.
팩션의 재미는 마치 그런 역사적 사건이 존재하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는 점과 픽션이 가지고 있는 상상을 나래를 맘껏 펼쳐볼 수 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의 경우도 1780년과 현대를 왔다 갔다 하면서 마치 그 당시 실제로 그런 사건이 존재한다는 착각을 갖게끔하여 마지막을 읽지 않고는 못견디게 하는 점이다. 당시의 역사적 배경이나 인물들에 대한 묘사 또한 정교하게 서술이 되었고 현대의 가상의 인물들에 대한 묘사 또한 작가의 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내재적인 문제인 소수민족간의 갈등과 이를 봉합하려는 중국정부의 아킬레스건이 과연 어떠한 방향으로 현실에서도 풀어나갈것인가 하는 점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항상 소설은 소설로서 끝이 나야 하지만 다빈치코드나 외규장각도서의 비밀등의 팩션을 읽다보면 왠지 정말 그럴것 같다는 의구심도 가지기 마련이고 실은 존재했으면 하는 바램도 있는것이 사실이다. 마치 이 소설의 건륭유보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