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고조선으로 - 고조선을 딛고서 - '한단고기' 우리 역사 되짚기 프로젝트
박병섭 지음 / 창과거울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고조선을 딛고서 포스트 고조선으로


歷史란 한 국가 내지는 민족의 활동을 문자로 기록한 일종의 일기라고 할 수 있다. 현대같이 매스미디어가 발달하지 못한 시대나 문자발명 이전의 시대의 경우 이러한 역사는 대을 이어 구전으로 전달되어 왔다. 후대에 비로소 문자가 발명됨에 따라 구전의 내용을 문자화 내지는 기록화 하면서 상당한 왜곡이 발생했고 역사인식의 중요성을 각성함으로써 더욱더 역사에 대한 자기중심적 기록들이 생격나게 되는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흔히들 역사는 공정하고 왜곡되지 않아야 진정한 역사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세계사중에서도 조선왕조실록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사가들은 수정실록이라는 대안을 내세우면서 동전의 양면을 다 볼려고 하는 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의 평가는 항상 후대에서 하기 마련이니까. 

지금 세계는 특히 동북아시아의 경우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나라의 역사전쟁이 가관이다. 정말 어디까지 역사를 소설로 만들것인가 하는 관점도 지켜봐야 할 정도로 유치하기 짝이 없다. 지금의 국력에 어울리는 역사창조를 마치 의복을 제단하듯이 이들 양국가는 거림낌없이 자기들 입맛에 맞게 역사를 제단할려고 한다. 아니 이미 제단하였고 이제 그 제단한 옷이 자기들이 아주 오래전부터 입어왔던 옷이라고 우기고 있다. 이에 대해서 정작 본인의 옷임을 아는 이는 뭐라고 해야 할지 요즘 말로 대략난감이다. 

그럼 왜 이런 지난간 역사에 대해 그리 집착하는 것일까? 아마도 정당성확보의 차원과 국민교화입장의 정치적 술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예로 위정자들의 입장에서 피지배층의 결속을 다지는 방법중에서 가장 많이 애용한 것은 국가간의 전쟁이다. 지금이야 이런 극한적인 방법을 선뜻 사용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 (물론 미국같은 말도 안돼는 나라의 경우 이런 방법도 애용한다) 그럼 다른 방법은 뭐일까 바로 역사를 통한 피지배층의 볼멘소리를 잠재우는 것이다. 이 방법은 과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 결과 또한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우리의 경우는 그럼 어떠한가?? 좋게 말하면 군자의 나라답게 소인들이 아무리 떠들어도 역사의 진실은 어디로 가지 않는다고 믿고 있는 그런 형국인가 아니면 속된 말도 항상 뒤북치는 위인들만 모여서 일만 터지면 역사왜곡이니 하고 목에 핏대를 세우고 있는것은 아닌가 싶다.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의 역사에 대한 인식은 정말 한심하기 짝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 上古史부분에 대해선 정말 할 말이 없을 정도이다. 비록 상고사에 대한 사료가 드물어서 그 연구가 힘들다고 할 수 도 있지만 상고사의 경우 어느나라를 막론하고 사료의 미비는 공통된 것이다. 물론 상고사를 소설처럼 다시 쓰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최소한 상고사에 대한 역사인식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정신적이고 실재적인 뿌리인 고조선에 대한 사료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한단고기, 단군고기, 규원사화등을 통해서 전해지는 극히 미비한 사료들이며 이 중에 위서라는 논란을 가지고 있는 서적도 있다. 그래서 대부분이 중국의 사료를 중심으로 우리의 상고사에 대한 실재를 파악할려고 하는것이 사학계의 특징이 아닐까 싶다.

크게 제국주의 사관 그중에서 일제의 식민사관에 너무나 충실했던 우리의 사학자들이 생각했던 것이 한4군의 위치를 한반도내로 확정하고 단군신화를 역사적의미가 없는 단순한 신화로만 여겼던 일들이 재야사학자들에 의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면서 더욱더 상고사에 대한 우리의 연구가 얼마나 터무니없는가를 말해주고 있다. 

우리 상고사의 쟁점중의 하나인 고조선의 연대와 그 강역에 대해선 더욱더 의견이 분분하다. 정통 사학계에서 주장하는 대표적인 위서인 한단고기의 내용을 보자면 우리의 역사가 많게는 기원전 7000여년전부터 시작하고 중국의 헌원황제가 다름아닌 치우왕검의 신하였다는 주장등 다소 상식적으로 수긍하기 힘든 점도 있는게 사실이지만 고고학적 맥락이나 중국 고대의 문헌들과 비교해 볼 경우 진서일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견해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봐야 한다. 

이 책은 한단고기를 중심으로 그동안 위서논란이 있었던 쟁점들에 대해서 보다 객관적이고 고고학적 증거자료들과 비교하면서 위서가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물론 역사란 시대가 흐름에 따라 약간의 곡필이 가해질 수 있는것은 사실이다. 중국 사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것이다. 그런 면에서 한단고기를 무조건 위서라고 논외의 대상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제도권 사학계나 재야 사학계에서 공통으로 연구해 볼 만한 가치를 가진 역사서임에는 틀림없다. 

한단고기만큼 우리의 상고사에 대해 실체를 제시해 줄 수 있는 서적 또한 현재로서는 없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역사를 왜곡하자는 소리가 아니라 정말 제대로된 역사연구를 해보자는 것이다. 항상 일 터진다음에 우리땅이다 하는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우리 스스로 우리의 상고사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제 더 이상 우리의 후손에게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