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을 잃다
박영광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별을 잃다

우선 저자의 이력이 남달라서 호기심반으로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현직 경찰이자 수사과 형사로 재직중에 있으면서 소설의 주인공인 한진수 직업 또한 강력반 형사로 설정되어 있는 점 부터 심상치 않음을 말해준다.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 아니다 그렇다고 박진감 넘치는 그런 설정 또한 없다. 그러면 이 소설은 매력은 어디에 있을까???

소설의 제목 자체에 모든것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왜 이별을 한다 혹은 이별을 생각한다는 등의 제목이 아닌 이별을 잃다라고 했을까 뭔가 문장이 어색하게 다가온다. 보통 우리는 잃다라는 말을 사랑을 잃다 소중한 물건 따위를 잃다고 표현하지 누구나 이별이라는 좋지 않는 의미의 단어에 잃다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처음 책제목을 보고 그런 생각을 하면서 책장을 한두장 넘기고 마지막장을 덮을때 정말 이별을 잃다라는 표현이 가슴에 와닿았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서 삶을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흔히 사랑하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죽음을 이별이라는 표현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그러면에서 소설속의 주인공 한진수는 미성년자의 노동과 육체를 강탈할려고 하는 범죄인으로 부터 칼을 맞고 순직하게 된다.

딸아이 작품발표에 가기로 한 그 날 더욱이 아들녀석은 비오는날 학교에서 아빠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고. 우리시대 가장 평범한 가정의 가장이기도 한 그는 그렇게 죽음을 맞고 정말 이별을 할 시간도 없이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마치 소중한 사람을 잃어버리듯이...

소설은 첫장면부터가 한진수의 죽음으로 부터 시작된다 영화 친구의 한장면처럼 비가 억수로 내리는 날 범죄인한테 칼을 여러군데 맞고 죽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영혼이 그 장면을 목격하는 장면으로 부터 시작된다.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의 웅성거림 그리고 동료 경찰관의 울부짓는 소리를... 그러면서 어릴적 나이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그 때 어머니의 추억과 현재의 아내를 만나는 과정 그리고 새로운 가정을 꾸리는 과정을 보여주고 마지막 단계에서 다시 현실로 돌아와서 자신의 죽음과 장례를 지켜보는 내용이다. 죽은 자신의 육체를 지켜보면서 정말 이별을 할 틈도 없이 잃어버린 가슴아픔 사연이 들어있다.

우리에게 흔하지 않았지만 경찰관이나 소방관의 경우 정말 그럴수 있는 확률이 높은것이 사실이다. 저자는 그런면에서 소설의 주제를 얻지 않았나 싶다. 이별을 하고 싶은 것이지 잃고 싶지는 않는것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