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40년을 준비하는 40대 인생경영 - 마흔세 살 김부장의 새로운 직업 찾기
김병숙 지음 / 미래의창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43살의 김부장, 명문대학을 나와 유수의 기업에서 동료들보다 빠른 승진을 거듭하고 신도시에 아파트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정도의 제테크를 하고 있는 전형적인 대한민국 중상층의 가장이다. 탄탄대로를 질주하던 그에게 후배 권부장의 이사진급이 가져오는 여파로 인해 본인의 현위치와 장래를 생각하면서 또 다른 40대의 인생을 생각하는 일종의 지침서 내지는 길라잡이 같은 책이다.  

이 책의 경우 40대인생경영이라는 제목으로 40대에 초점을 맞춘것 같지만 지금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사회초년생 또한 한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이다. 40이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나이이고 또 다른 이에게는 지나간 나이이지 않는가. 직장선택의 노하우나 직장선택을 할 때의 체크리스트등 유익한 정보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 자신의 인생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 과연 우리는 인생을 얼마까지 영위할 수 있을까? 불과 일이십년전만 하더라도 회갑잔치를 하고 칠순이 되면 인생준비해야할 때라고 우스게 소리를 하던 그런 때였지만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지금은 정말 사람이 얼마까지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정확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단지 상당한 기간 동안 오래살것이라는 사실만 확인한채로 그럼 유가에서 말하는 40이면 불혹이라는 개념 또한 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오히려 40대면 진정한 출발을 시작할 수 있는 그런 나이가 아니겠는가.

이 책을 보면 40대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들 볼 수 있는 사례와 남달리 성공한 인생을 살고 있는 사례를 들어서 문제점과 그리고 향후 나아가야할 방법을 제시 해주고 있다. 나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지금의 나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 자신이 알고 있어야 한다는데 공감이 간다. 여러가지 문제점을 고치는 조언이나 미래의 비전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지금 내가 사회, 직장, 가정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으며 과연 나를 제외한 이해관계자와 가족구성원에게 나란 존재가 어떻게 비쳐지는지에 대해서 나 자신은 알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물론 나도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에게 반문해 봤지만 정말 모르겠다라는 말만 메아리가 되어 돌아온것 같다. 아마도 386세대에게는 더 중요한 모토이지 않을까 싶다.

문명의 일대 변환기에서 과도기적인 인생을 살아오면서 앞만 보고 달린 그런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왜 달려야 하는지 이유도 제대로 모르고 말이다. 어느날 잠시 서서 달려온 길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가야할 길을 볼 시점이 되면 자아정체성에 대한 무한한 의구심과 좌절감 내지는 허탈감을 가지는게 지금의 40대인 386세대의 모습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말한 150까지 살아야 한다면 더욱더 큰일인것이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직업이 과연 남은 생애동안 같이 가져갈 수 있을까에서 부터 그럼 어떤 일을 또 해야하나등.. 그런 의미에서 다시 한번 자기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하고 아니 필히 의무감으로 지금이라도 늦지않았다 자기 자신을 꼭 돌아보고 살펴야 할때인것 같다. 우리는 어찌 보면 내 그림자만 보고 살아가고 있지 않나 싶다.

매일 아침 출근을 하면서 꼭 보고 오는게 있을 것이다. 다름아닌 바로 거울이다. 거울을 보면서 누군 옷매무새를 만지고 누군 머리를 만지고 누군 넥타이를 바로 매만지고 누군 화장을 한번더 확인하고 그렇게 다른 거울에 비친 그런 모습을 챙길것이다. 정작 거울에 비친 내모습을 제대로 보고 출근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언제 부터인지 모르지만 무표정한 표정의 또 다른 내가 거울속에 있는것은 아닌지... 내일부터라도 출근길 거울속에 있는 본인한테 따뜻한 위로의 말이라도 한마디 하고 출근했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