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 만들어진 신 THE GOD DELUSION>>
우선 서평을 올리기전에 몇가지 점을 밝혀두어야 할 것 같다. 우선 나는 무신론자 입장에서 이 책을 읽고 서평을 쓰고 있는 것이고, 종교에 대한 선입견 특히 특정 종교에 대한 어떠한 반감이나 배척도 없다는 점을 미리 밝혀두고 서평을 시작해야 할것 같다. 간혹 종교인들의 오해를 살 소지도 있을것 같은 생각에...
리처드 도킨스는 현존하는 대표적인 진화생물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이며 특히 동물행동학에 일가견있는 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이기적 유전자'에서도 보듯이 극히 과학자적인 논지에서 자기 주장을 논리적으로 펴나가는 작자이다. 지금 인류가 살아가고 있는 터전인 지구라는 행성이 기원에 관해서 진화론과 창조론이 끊임없이 논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나 같은 무신론자들은 무슨소리냐고 할테니지만, 어떻게 창조론이 가능하다는 말이야 달을 가고 화성을 탐사하고, 태양계넘어로 인공위성을 보내는 현시대에 그게 무슨 소리냐고 하겠지만... 솔직히 이 지구상의 50%를 훌쩍넘기는 사람들은 어떠한 형태를 띄던 간에 하나의 종교를 가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 종교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창조론 특히 설계자(신)의 계획된 설계에 의해서 지구 탄생, 우주의 탄생, 및 인류의 지금 위치를 설명할 수 있는 논거도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다윈주의를 통해서 종교에서 주장하는 설계주의를 철저히 논박하고 반증하는 논리와 과연 종교가 인류에게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종교의 최고점에 있는 신이라는 존재가 과연 있는가에 대해서 정말 무신론자의 입장에서 반박하는 내용으로 상당한 공감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책의 밑부분은 종교의 문제점 특히 종교가 유년시절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어린이에게 미칠수 있는 폐해(?)에 대해서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여 논박하고 있다. 어찌보면 도킨스는 진화론과 창조론의 득실보다는 종교에 대한 득실에 더울더 많은 부분을 논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 자신이 과학자이고 보면 굳이 진화론과 창조론중 어느것이 맞다는 논의 자체가 넌센스가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우리는 믿음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많은 파생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다. 믿는다 누굴? 가족, 친구, 사랑하는 사람, 아니면 신?
그 믿음의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흑백의 논리를 들이대어서 종교인과 비종교인을 구분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번쯤 생각해보면 그 믿음이 과연 진정한 믿음일수 있는냐는 반문도 해볼만 한것 아닌가 싶다.
무신론자냐 불가지론자냐 종교인이냐를 논하기전에 세상을 살아가는 인류의 일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현재 살아가고 있는 삶에 충실하고 사회구성원에게 배려할 수 있는 그런 삶을 살아가는게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더 깊이 든다.
그리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신념에 대해서 그게 종교인든 또 다른 어떤것이든간에 그 개인의 고유의 생각을 타인에게 강요하지 않는게(특히 가치판단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자녀들에게)인류 구성원으로서 도리가 아닌가 싶다.
물론 종교의 폐해만큼 무신론자들의 폐해도 있는게 사살이다. 우리 인류역사를 돌이켜보면 위정자들은 거의 모두가 그런 아킬레스를 철저히 이용하여 자기의 권력을 유지했던게 사실이니까 말이다.
단지 이책을 읽고 나서 씁슬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것은 지구상에 생존하는 생명체중 가장 자인하다는 생각이 들고 어찌보면 하등생명체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어떠한 종도 같은 종끼리 잔인하리만큼 철저하게 강박하는 종은 없다. 이 인류만이 유일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신이 있으냐 없으냐라는 생존에는 별 큰 영향이 없는(물론 그게 인생의 전부인 사람도 있겠지만) 논거를 가지고 그리고 신이 있다고 믿는 부류중에 어떤 신을 믿느냐를 두고 서로가 지구상에서 한종을 멸절시킬만큼 적대적인 적은 아마도 없고 앞으로도 없지 않을까 싶다. 과연 개인의 생명존중만큼 가치가 큰게 있을까?? 사람목숨만큼 중요한게 있을까??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은 지역,시대,연령,성별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누구에겐 삶의 전부가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겐 일부분이 될 수도 있다. 그 부분의 크기를 잣대로 시비를 가려서는 안되는게 인류사의 진정한 해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흔히들 내편, 네편하는 이분법적인 사고를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저울질 한다면 과연 해답이 나올까??
배타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종교도 문제이지만 그러한 종교를 무조건적으로 배척하는 무신론 또한 문제인것은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누군가 망상에 시달리면 정신 이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다수가 망상에 시달리면 종교라고 한다."" 라는 말의 의미가 관연 무엇일까? 망상==종교라는 그런 생각을 먼저하는 사람은 그 또한 망상가이지 않을까 싶다. 이 말이 종교를 비하한다는 표현이라가 보다는 개인적인 생각으론 종교나 무신론을 둘다 지칭하는 말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개인이 아니 다수의 믿음이나 사고는 그 만큼 한 개인의 사고나 믿음에 대한 포용과 존중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나는 들리니 말이다.
인터넷을 비롯한 고도의 문명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흔희들 종교니 신이니 하는 말로 논박을 한다는 자체가 관연 무슨 실효가 있나고 반문할 수 도 있겠지만, 우리 인류의 마음의 저편엔 항상 종교와 신이 자리잡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임에는 틀림없다.
이 책을 읽고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고 신을 부인하고 종교라는 미명하에 벌어진 악행들에 대해서 자잘못을 따지는 그런 계기가 되자는게 아니라, 보다 나은 인류의 발전을 위해서 모두가 함께 품고가야 할 생각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 만큼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