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 이후 불황을 이기는 커리어 전략 - 세계 1위 미래학자의 코로나 위기 대응책
제이슨 솅커 지음, 박성현 옮김 / 미디어숲 / 2020년 9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야흐로 ‘코로나’ 라는 말은 더 이상 새롭거나 생뚱맞거나 하는 존재가 아니라 우리들 일상생활속 깊이 자리 잡은 일종의 불가피한 동침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코로나’ 는 당분간이 아니라 어쩌면 오래토록 우리곁을 맴돌것이라는 우울한 예측이 나올 정도로 인류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기도 하구요.
그러면 이제 우리는 ‘코로나’를 극복해야 할까요? 아니면 이들과 함께 공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할까요? 물론 보건상 아니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막론하고 모든 분야에서 필히 극복의 대상인 공동의 적인게 사실이지만, 현재로썬 극복이라는 프리케이쳐가 무색할 정도로 그 맹위가 크게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에 포인트가 있다고 여겨 집니다. 그래서 이럴바야 이놈들과 같이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게 더 합리적인 선택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되는 거죠.
공생의 일환으로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나름의 전략과 비전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저마다 가져봤을 법 합니다. 이에 맞추어서 출간된 제이슨 솅커의 <코로나 이후 불황을 이기는 커리어 전략> 이라는 개발서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저자의 논거가 ‘코로나’ 에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세계대공황, IT거품붕괴, 리만사태등의 외부적 충격파로 인해 겪어온 불황의 시대를 재검토하고 그 불황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 특히 개인의 커리어에 대한 전략방안들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 더 핵심적인 논거입니다.
‘위기가 가장 좋은 기회이다’ 라는 격언을 굳이 말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공감하고 있는 부분이죠. 하지만 그 위기를 어떻게 기회로 잡을 것인가에 대해선 제대로 인지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게 현실이기도 하죠. 저자는 바로 이런 부분에 대해서 정답은 아닐지라도(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상당한 이격감도 있을 수 있기에) 정답에 비슷하게 접근할 수 있는 툴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먼저 경제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인 수요와 공급에 대한 간단한 이해부터가 필요할 듯 합니다. 상식적인 개념이기도 하지만 전통경제학에서 수요의 공급에 대한 개념을 현실 경제학으로 옮기면 ‘두려움과 탐욕’ 이라는 개념과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불황이라는 개념의 기초전제는 인간의 ‘정서’ 에 기인한다고 할 수 도 있는 것이죠. 그만큼 가장 먼저 인간의 심리상태가 중요한 부분이고 이를 기반으로 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원동력 또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는 뜻이겠죠.
너무나 자명한 소리일 수도 있겠지만 자기 자신만의 ‘SWOT 분석’이 커리어 전략의 기본 중에 기본일 수밖에는 없겠죠. ‘SWOT 분석’ 은 왠만한 기업의 시장조사 보고서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개념이기도 하죠. 바로 이 ‘SWOT 분석’을 자신이 기업이다라는 가정하에 한번 냉철하게 나열해 보는 것이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자신만의 SWOT 분석’만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고 한다면 나머지 저자가 이 책에서 주장하는 세부적인 전략들은 의미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만큼 정확한 ‘자신만의 SWOT 분석’이 키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이후 “준비하라” “견뎌라” “숨어라” “ 도망쳐라” “쌓아 올려라” “돈이 돈을 벌게 하라” 라는 개별적인 전략들은 ‘자신만의 SWOT 분석’ 이 제대로 작성되고 정확하게 자기 자신이 인지한 경우에 빛을 발하게 되는 부수적인 협조자의 역할을 하게 될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결국 저자 역시 마지막 쳅터에서 다시 한번 ‘자신만의 SWOT 분석’을 강조하는 것으로 미루어봐서, 그 만큼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인지가 불황의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여러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포스트 코로나”에 대해서 많은 예측과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는 점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가 변수가 아니라 어쩌면 ‘상수’로서 우리에게 영향력을 키울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말하는 것 아닐까 싶네요. 물론 이 책이 코로나로 인해 야기된 불황의 시대를 극복하는데 바이블은 결코 아닙니다. 하지만 불황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더불어 불황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편린과 같은 작은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의의를 두고 싶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