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관우 Best Album - Blue Snow
조관우 노래 / 예당엔터테인먼트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조관우는 카스트라토 창법을 구사한다고 한다. 나는 그 창법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다. 그러나 그의 창법을 사랑한다.

그를 알게 된 지는 10년도 더 되었다. 차가 없던 시절 카풀을 하며 1시간 거리를 함께 다니던 직장동료들과 차를 타고 가다 그의 음악을 우연히 듣게 되었다.

여성의 목소리 같기도 하고 어린 소년의 목소리 같기도 한 맑은 목소리가 스피커에서 흐느끼고 있었다. 너무 아름다운 흐느낌이었다. 

그가 인간문화재 조통달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후에야 그의 미성의 비밀을 어느 정도 수긍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그의 음반을 다 알지는 못하고 2집 'memory'에 대한 황홀한 기억을 갖고 있는 나.

2집 속의 '님은 먼 곳에'를 들을 때 나는 문득 내가 노래 속의 그 사람처럼 상처입은 새가 되어 막막한 하늘을 날고 있는 느낌이었다. 

고음으로 갈수록 더 애절하게 우리의 굳은 감성을 파고드는 그의 창법..

이 음반도 나를 실망시키진 않았다. 리메이크 유행에 일조한 그답게 옛날 노래들이 그의 미성을 타고 새로운 옷을 입었고 다른 노래들도 다 슬프고 아름다웠다.

홀로이고 싶은 시간, 달콤한 고독에 흠뻑 젖고 싶은 이들에게 그의 음악을 권하고 싶다.

대금소리처럼 은은하면서도 처연한 곡조로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음악의 숲에 이르게 될 테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10-29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2집 메모리 좋아해요. 조관우의 아들도 얼마전 티비에서 봤는데 미성을 가졌더군요. 9살인데도 아빠를 닮은 흔적이... 애틋하고 아련한 목소리, 이 앨범으로 다시 듣고 싶어지네요. 달콤한 고독에 휩싸이고 싶을 때....^^

비자림 2006-10-30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아들도 미성이군요. 아들이 있었다는 것조차 저는 몰랐어요. ㅎㅎ
나중에 한 번 들어보시길. 2집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달콤하게 슬픔을 노래한답니다.
 
정태춘 박은옥 20주년 골든앨범
정태춘 박은옥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비가 온다. 가을을 예고하는 비가 온다.  큰 근심 없이 살면서도 이렇게 비가 오는 날이면 왠지 마음이 가라앉고 내가 흘려보낸 시간들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슴이 서늘해진다.

이 음반의 1은 '시인의 마을' 등 18개의 주옥같은 노래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서정적인 노래들을 사랑했던 시간이 내게도 있었다. '사랑하는 이에게'로 대표되는, 그들의 이슬처럼 맑은 서정은 당시 내 마음을 흔들어 놓고 어루만지고 가끔은 친구보다 더 큰 위로가 된 적이 있었다.

한 편의 시 보다 더 아름다운 이미지를 전해 주던 그들의 노래...

그중에서도 '떠나가는 배'가 가장 좋다. 마치 우리 인생의 깔깔한 외로움을 넌즈시 암시하는 듯한 가사들에서 나는 대중문화, 대중가요의 가볍지 않은 힘을 느낀다. 노래를 듣고 있으면 서늘한 눈으로 수평선을 바라보며 갑판에 서 있는 한 남자, 차분히 자기 삶의 고단함을 응시하는 한 남자의 쓸쓸한 눈빛을 느낄 수 있다.

정태춘, 박은옥의 음악 세계는 80년대 이후 격변기의 시대를 거치면서 큰 탈바꿈을 한다. '아, 대한민국'으로 시작되는 그들의 강건한 외침은 운동권 대학생, 그리고 사회변혁을 희구하는 사람들의 푸른 입술에 많이 불리워졌다.

그들의 깨어있는 의식과 실천하는 정신이 고귀하고 아름답지만 나는 여전히 그들의 서정적인 노래가 좋다.

오늘 불현듯 따스하고 정겨운 서정의 나라가 그리운 나는 달콤한 고독에 휩싸이며 '촛불'을 듣고 있다.

그들의 노래와 함께 밤을 새웠던 내 서투르고 상념 많았던 젊은 시간들을 떠올리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8-22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촛불, 떠나가는 배~~ 아.. 많이 불렀던 노래, 기억나요. 그 부드러운 저음과 맑고 낭낭한 고음의 하모니..

비자림 2006-08-22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악이 있어 더 아름다운 세상이지요? ^^
그 음악을 들으면 그 음악을 사랑했던 시간들이 다시 가슴 속에 펼쳐지지요.
 
Indian Road - The Best Of Native American Flute Music Vol.1
Various Artists 연주 / 알레스2뮤직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서부영화에서는 인디언들이 죄다 폭도들 같았다. 하얀 피부에 잘 차려 입은 백인들을 습격하고 야만적인 문화를 영위하는 사람들로만 봤었다. 그들을 추격하는 총잡이들은 모두 근사한 영웅들이었고...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그들을 그렇게 보는 사람들이 만든 영화였으니..

그런데 점차 세상의 편견에 대해 눈을 떠 가면서 '인디언'들의 핍박받은 역사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들의 평화를 추구하는 문화에 대해 매료되면서 그들을 다시 보게 되었다.

그리고 '늑대와 춤을'이란 영화를 보면서 더더욱 그들을 애잔하게 바라보게 되었다.

한가한 오후, 내 귀로 가득 들려 오는 '인디언 음반'도 마찬가지 느낌이다. 

시원한 바람이 일렁이는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 누군가 콧노래를 부르는 듯한 느낌, 아무 욕심 없이 자연에 동화되면서 서로 사람의 정을 부비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내 눈 앞에 그려졌다.   

말을 타고 달리는 호방하고 담백한 인디언 총각들의 푸른 호흡도 느껴진다.

슬프면서도 슬픔에 치우치지 않는, 슬픔 조차도 조용히 삭여낼 듯한 그네들의 눈동자가 느껴진다.

일면 불교음악 같기도 하고, '대황하'나 '실크로드'풍의 음악 같기도 하다.

이 음반은 특히 호숫가의 물결처럼 잔잔히 다가오는 플룻의 음색이 많이 느껴지는데 나는 왠지 그들이 살고 있는 초원에 서 있는 듯 친밀감을 느꼈다.

음반 속지에 실린 말이 오늘 음악 만큼이나 내 가슴에 울린다.

 "너희들 도시의 길은 너무 밝다!  너희는 별이 겁나느냐?

너희 음악 소리는 너무 크다! 너희는 바람의 속삭임이 두려우냐?"

삶에 지친 사람들, 조용히 지나온 시간을 반추하고 싶은 사람들, 그리움이 목젖까지 치민 사람들, 조용한 산사에 들어가 홀로 흙 냄새 나는 방에 눕고 싶은 사람들,  대화보다는 음악이 필요한 사람들, 기댈 누군가의 따스한 어깨가 필요한 사람들,

 

아니 그냥 쉬고 싶은 사람들....

그 모든 분들에게 이 음반을 권해 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6-08-16 2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들이 물질적인 삶에 치우칠수록 구멍이 나버린 정신적인 공백을 메꾸기 위한 무엇인가를 찾습니다.
이 곡은 그러한 노력 중 귀를 통해서 마음과 물질의 삶의 균형을 찾게 해줍니다.
잘 읽고 갑니다.

비자림 2006-08-17 0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의 속삭임, 별들의 불밝힘에 기대어
느리게 느리게 걸어가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