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근무하고 있는 부서는 업무가 비교적 할랑한 편이어서 시간이 비는 틈틈이 책을 읽을 수 있다. 손님들이 요구하는 업무는 단순하고 그 업무를 처리하고 나면 빈 시간이 제법 난다. 그렇게 5권짜리 <레미제라블>을 읽었고, 벽돌 규격이지만 술술 읽히는 월터 아이작슨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읽었고, 읽었고 읽었다.
지금은 오랫동안 읽고 싶었으나 발번역 때문에 미루고 있다 새로 번역된 <생각에 관한 생각>과 친애하는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Oh, William>을 읽고 있다. <오, 윌리엄>은 카피라이트가 2021인 걸로 보아 아직 번역되지 않은 듯하여 부득이 영어 원서를 붙잡고 있다. <버지스 형제>처럼 <내 이름은 루시 바턴>의 세계관에 속한 책이다. 화자가 루시이고, 루시의 첫 번째 남편 윌리엄에 대한 이야기. 따라서 윌리엄을 읽으려면 루시 바턴을 먼저 읽는 게 순서에 맞고 자연스럽다.
아침에 조금 일찍 출근 준비가 끝나 가까이 놓여 있던 <오, 윌리엄>을 펼쳐 들었다가 아니나다를까 순식간에 빨려들어가서 회사에까지 들고와버리는 바람에 나는 지금 딜레마에 빠졌다. 비는 내리고 마침 손님은 적어서 책을 읽으려는데, 뭘 읽어야 할지 모르겠다. <생각에 관한 생각>도 읽고 싶고, <오,윌리엄>도 읽고 싶고, 동시에 둘 다 읽고 싶다. 어쩌지.
한쪽 주장만 들은 참가자는 양쪽 주장을 다 들은 참가자보다 판단에 더 확신을 가졌다. 이런 확신은 이용 가능한 정보로 자기가 직접 구성한 이야기가 논리적으로 일관되다고 느낄 때 나온다. 그럴듯한 이야기를 지어낼 때 중요한 것은 정보의 일관성이지, 정보의 완성도가 아니다. ... 증거의 양이나 질은 주관적 확신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내 믿음에 대한 확신은 대개 눈에 보이는 정보가 아주 적을지라도 그것으로 얼마나 그럴듯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느냐에 달렸다.
Grief is such a--oh, it is such a solitary thing; this is the terror of it, I think. It is like sliding down the outside of a really long glass building while nobody sees you.
슬픔은 너무나 혼자만의 일이다. 그래서 두려운 것 같다. 아무도 못 보는 사이에 높은 빌딩 유리창 밖으로 나 혼자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처럼.
이럴 때 필요한 게 원칙. 생각에 관한 생각은 회사(에서 읽기로 한) 책이고 윌리엄은 집(에서 읽어야지 마음먹은) 책이니까, 지금은 일단 생각 생각을 읽는 게 맞다. 고민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