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미줄에 걸린 웹 - 웹의 권력에서 자유로워지는 법
로라 J. 구락 지음, 강수아 옮김 / 들녘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인류는 20세기에 이르러 신천지를 찾았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이래 2세기에 걸쳐 창성했던 지구상 탐험으로 이제는 더 이상 발견할 신대륙이 없을 것만 같았는데, 20세기에 신천지를 찾은 것이다. 그리고 인류는 이 신천지에 ‘Cyber Space'라는 이름을 붙였다.
‘지구상의 발견’에는 지형적 한계에 봉착했지만, ‘Cyber Space'는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무정형성에 의거해 그 한계가 없이 무한정 아메바처럼 확장할 것처럼 보였다. 실제 그 신천지에는 초기에 법도, 사회적 권력도, 때로는 사회적 이성도 미치지 못함으로써 신천지에 도착한 소수그룹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무정형성은 혹자에 의해서는 장밋빛으로 그려지기도 했고, 또 다른 측면에서는 혼돈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Cyber Space의 확장은 언제까지나 현실세계와 동떨어져서 존재할 수도 없었고, 현실세계의 세력군의 진입은 결국 Cyber Space의 방향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거미줄에 걸립 웹>은 이에 대해 이런 화두를 던진다. “테크놀로지는 미래를 향해 가고 있다. 그 방향타는 누가 잡고 있는가?”
그리고 먼저, 기술결정론에 반기를 들면서 이 책의 원제인 사이버리터러시(Cyberliteracy)를 얘기한다. 사이버리터러시는 ‘사이버(Cyber)’와 글을 읽고 해독하는 능력을 뜻하는 ‘리터러시(Literacy)'를 결합한 신조어다. 이는 사이버스페이스 하면 떠올리는 웹 영상, 빠른 데이터 연결 이상의 것을 내다보는 비판적인 태도를 뜻한다. 기술결정론에 대한 도전이자 의식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이를 위해서는 정보기술을 결정짓는 경제적, 정치적 힘을 이해해야 한다.
“과학기술에서의 다윈주의는 소비자의 힘이 자연선택의 힘과 맞먹으며, 결합이 있는 제품은 사람들이 구매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자연히 진화 계보에서 떨어져나갈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인터넷의 미래 모습과 기능을 결정하는 것은 인터넷 기업, 통신 및 케이블 업체, 연예 및 미디어 그룹, 정부 관리 등이다. 우리가 행동주의적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연구, 교육, 그리고 우리가 지지하는 기술에 도사리고 있는 결정주의에 도전하는 열혈 사이버스페이스 시민이 되지 않는다면 다른 가능성들은 점차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즉, 이 책은 Cyber Space가 인터넷 기업이나 통신업체 등에 의해 주도되면서 기술결정론에 빠지지 않도록 이용자가 사이버리터러시를 가지고 비판적으로 대응하라는 주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Cyberliteracy를 거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영역을 설정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테크노레이지(technorage), 젠더, 유머 및 혹스(hoax, 날조), 프라이버시와 저작권, 전자상거래, 인터넷중독 등이 그 영역들이다.
그 영역들을 언급하며 저자는 테크노레이지(technorage) 맞선 법률의 제정을 검토할 것을 역설하고, 성 차별적인 플레이밍에 대해 도전할 것을 주문하며, 혹스/유머 등에서 정보의 질을 판별하는 능력을 배양시킬 것 등을 얘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이버스페이스가 현실과 괴리되어 존재하는 개념으로 들리는 한 우리에게 유해하며, 따라서 “생각은 세계적으로 하되 먹는 것은 지금 이 곳에서”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사이버리터러시. 새로운 신조어이면서 주장하는 바가 명확히 드러나 고개가 끄떡거려지지만,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다소 실망스러운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도덕적 윤리 같기도 하고, 일상적인 네티켓 같기도 하고, 그래서 무얼 하라는 것인지 어리둥절하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세계를 장밋빛 환상으로 보거나 반대로 폄하하지도 않으면서 다만 행동주의적 입장에서 보고 있는 관점만은 유념할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