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저항의 나이
눈꽃
너는 피어라 나는 네 안에 지마
그래도 울지 않으리
이마 위에 아이 눈썹 만한 눈이파리
예수가 죽어 간 나이
시인이 요절한 나이
초월하지도 못했네 순응하지도 않았네
아 아직은 저항의 나이
내가 쓴 길도 내가 지운 길도
덮고야 마는 단호한 눈발이여
앞선 발자국 하나 없이 내 흔적을 남겨서
당신에게 가야하네
눈꽃 피는데, 당신에게 닿기도 전에
눈꽃만 피는데,
우두둑 솔가지 부러지고
나는 먹먹한 눈물 한 방울로
길을 녹이네
문동만 / 아직은 저항의 나이 / 삶이 보이는 창
한때 운동권이었거나 진보적이었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은 삶을 살고 있는 선배들을 보면 가끔 궁금해질 때가 있다. 대체 몇 살이 되면 더이상 진보적이지 않게(보수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일까? 많은 선배들이 나도 한때는 운동권이었느니 하고 썰을 풀지만 지금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면 참 한숨만 나온다. 그런 모습으로 내게 큰소리치는 스스로의 모습이 부끄럽지도 않을까? 저 나이가 되면 그런 부끄러움마저도 느끼지 못할 만큼 사람이 무뎌지는 것일까? 진보는 날카로움이라고 했건만 나이를 먹어가면 무뎌질 수 밖에 없는 것일까? 궁금증은 계속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런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과연 나도 저 나이가 되면 똑같은 인간이 되어 있을 것인가? 글쎄 어떨까? 나이가 많이 들어도 멋지게 살고 계신 선배님들도 많다! 그러나 그렇게 멋지게 살지 못하는 선배들이 사실은 훨씬 더 많다! 나는 어디에 속할 것인가?
이런 말을 하기에는 한참 이른 것 같지만, 나는 혹 어느 후배에게 한심한 선배가 되어 있는 건 아닌지 불안할 때가 있다. 아직 한창 어릴때(그저 사회에 대한 불신과 젊은 열정만으로 똘똘 뭉쳐진 말썽덩어리였을 때)의 나는 선배들 욕을 참 많이 했다. 그땐 제대로 싸우지 못하는 선배들 모습을 보면 이해가 되지 않았다. 죄다 이런저런 이유를 갖다 붙여서 싫어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갖고 자연스레 운동을 접는 선배를 보면 그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운동을 접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다른 길을 가는 것을 용서하지 못했다.
지금은 그 다른 길을 갈 수 밖에 없는 혹은 가고 싶은 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 길이 아주 어긋난 길이 아니라면 박수를 보내줄 수도 있다. 그래서 다시 생각해보면 그때 욕했던 사람들에게 미안하기도 하다. 그러나 간혹 아주 어긋난 길로 가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 중에서 간혹 자신이 새로 선택한 길이 옳다고 여기고, 진보나 운동을 그저 어린 치기 쯤으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런 사람들이 내게 하루라도 빨리 자기처럼 되라고 잔소리를 하기도 한다. 아, 스스로를 386세대라고 자부하면서, 나에게 어서 빨리 철이 들라고 큰 소리 치는 사람들. 정말 싫다!
그렇다면 지금의 나는 어떨까? 나는 지금 어느 길을 가고 있을까? 나는 아직 처음 그 길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과연 젊은 날의 내가 보기에, 난 여전히 그 길을 가고 있는걸까? 글쎄 나이를 먹을 수록 이런 것들에 자신이 없어지는 것 같다.
가끔 누군가가 나이를 물으면 스물아홉 이라고 답한다.(신기하게도 진짜로 믿는 사람들이 제법 있다!)스물아홉이란 내게 어떤 상징을 지닌 숫자이다. 예전에 친하게 지내던 동료 강사는 나이가 사십대 중반쯤 되었는데, 절대 자신의 나이를 밝히지 않는 사람이었다. 누가 나이를 물으면 늘 스물아홉 이라고 대답한다. 그 다음 해에 물어도 똑같은 대답이 돌아왔다. 자신은 영원히 스물아홉 이라고 말하는 사람이었다. 그이에게 스물아홉과 나에게 스물아홉은 아마 다른 상징을 가진 숫자이겠지만, 나도 그이처럼 해보고 싶다는 생각 가끔 그런 장난을 해본 것이다.
나는 이십대의 치기어린 열정과 에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좋다! 세상에 대해 한껏 날을 세운 당찬 기백이 좋다! 좌충우돌 여기저기 부딪히고 찢기어 상처입은 순수함이 좋다! 뭐하나 거리낄 것 없이 마음가는 대로 살아가는 자유가 좋다!
서른을 넘어 이제 마흔을 바라보고 있는 지금, 그리고 마흔을 훌쩍 넘긴 어느 날에도 나는 당당하게 '아직은 저항의 나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마 문동만 선배처럼 살아간다면, 충분히 당당하게 말할 수 있으리라.
※ 예전 블로그 글을 살짝 다듬어서 옮깁니다.
여기서 돌발퀴즈 하나 나갑니다.
이 시집의 표지에 실린 얼굴은 누구의 얼굴일까요?
댓글로 정답을 맞춰주신 한 분께 제 맘대로 선물을 하나 보내드겠습니다.
참고로 2007년엔 평택 대추리, 2008년엔 기륭전자 투쟁현장,
2009년엔 용산참사현장에 가면 늘 이 분을 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