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에 <100인의 책마을>을 소개하는 글이 실렸다.
뭐 그냥 간단한 소개이고, 이게 뭐 큰일도 아닌데, 이렇게 자판을 두드리는 건. 단순히 책소개만 된 것이 아니라 내가 쓴 글에 대해 한 줄 언급이 있었던 것이다. 바로 요 부분.
|
|
|
|
환경단체 활동가가 새만금 4공구 기습 시위의 기억을 되짚으며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C. 더글러스 러미스)를 소개하며, |
|
|
|
|
이 앞에는 김수정님(필명 아그네스)이 쓴 에쿠니 가오리에 대한 글을 언급했고, 바로 뒤에는 자본주의 복음의 불편함을 말하는 짙은잿빛구름님(알라딘 필명은 노란가방)의 글에 대한 언급이 있다. 아주 짧은 한 줄이지만, 언론에서 내가 쓴 글에 대한 언급했다는 것만은 기념할만한 듯하여 이렇게 남겨본다.
사실 며칠전에 이 책에 대한 서평들을 쭉 살펴보다가 공동저자 중 한 사람인 김이준수님(알라딘 필명은 스윙보이)이 쓰신 서평을 읽고 깜짝놀랐다. 우선 본인이 참여한 책에 대해 아주 냉정하게 평가했다는 것이 참 멋있고 대단해보였다. 책을 읽을 때에도 가장 재밌게 읽었던 글중에 하나가 김이준수님의 글이었기에 서평을 읽는 내내 좋았다. (또 좋았던 글은 김보일 선생님의 글 그리고 은이후니님의 글이었다.) 그런데 김이준수님의 서평에도 내 글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깜짝 놀랐던 것이다.
내 형편없는 글에 대한 너무도 과분한 평가에, 몸둘 바를 모를 지경이다. 막 얼굴이 화끈거리고, 심장박동이 빨라졌다. 무슨 큰 잘못이라도 저지른 것 처럼 부끄러웠다. 그래서 댓글도 달지 못하고 그냥 조용히 페이지를 닫았다.(여기서라도 감사인사는 전해야겠지. 김이준수님 고맙습니다!)
그렇게 부끄러웠던 기억이 또 있었다. 바로 내 글에 적었던 새만금 4공구 시위 직후의 일이다. 어느날 함께 고생했던 선배 활동가들과의 술자리에서 어느 형이 내 사진이 실린 기사에 대해 언급했다. 정작 나는 그 기사를 보지도 못했는데, 그런 기사가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내 사진이 엄청 크게 실렸다는 거였다. 중앙일보 기사였는데, 큰 사진 한 가운데에(마치 주인공인 것처럼) 내 모습이 실렸다고 한다. 그 형에 의하면 그 사진을 보는 순간 나 혼자 일을 다 한 것처럼 느껴졌다는 것이다. 나중에 찾아보니 정말 사회면 톱 기사에 내 사진이 커다랗게 실려있었다. 마치 혼자서 일을 다 한 것처럼 지친 모습이 참 보기 안쓰러웠다. 어쨌거나 쟁쟁한 선배들 다 제치고 내 사진이 덜렁 실린 것에 대해서는 좀 많이 부끄러웠다.(그게 내 책임은 아니지만......) 아무것도 한 것도 없는데(곡괭이질은 좀 열심히 했다!) 혼자 다 한 것처럼 느껴진다니, 선배들 앞에서 몸둘 바를 모를 지경이었다.
환경 운동을 할 당시에는 간혹 지역 신문이나 방송에 얼굴이 나가거나, 이름이 나가는 경우는 있었는데, 전국구 언론에 실린 건 그때가 유일했던 것 같다. 그 사진도 기념으로 남겨뒀으면 좋았을 걸, 지금은 검색해도 찾을 수도 없네.
※ 아, 서평들을 다시 보니, 스테라님과 양철나무꾼님의 서평에도 내 글에 대한 짧은 감상이 있었다! 워낙 좋은 글들이 많은데, 모자란 글에 대해서도 신경써주셔서 무척 감사한 마음이다!(스텔라님, 양철나무꾼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