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감은빛 > 내 새끼 입으로 들어가는 먹거리 문제
북플에 예전 오늘 날짜에 쓴 글을 알려주는 기능이 있었네. 이건 아마도 페이스북 따라하기인 것 같다.
8년 전 잡지에 실었던 서평을 그대로 알라딘 서재에 올린 글이다. 그러고보면 예전엔 청탁 받고 쓰거나 짧게 연재하며 서평을 의무적으로 썼는데, 최근 몇 년 간은 책을 읽어도 서평을 쓰지 않는다. 서평을 쓰는 건 책을 읽는 것과는 별개로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당시 잡지에 실린 내 서평이 좋았다는 칭찬을 많이 받았다. 환경단체 활동가로 일했던 내 경험을 살린 글이라 아마 가장 잘 쓸 수 있는 영역이어서 그럴 것이다.
마음 아픈 건, 그때 이후로 GMO, 식용색소, 합성착향료 등 다양한 식품첨가물 문제는 훨씬 더 나빠졌다. 이 글에 아이들이 매일 컵라면과 삼각김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걸 보고 충격받은 얘길 썼는데, 요즘 사람들은 편의점 도시락으로 끼니를 때운다. 게다가 혼자 살면서 가끔 나조차도 편의점 도시락과 컵라면을 먹는다.
최근 작은 아이의 입을 통해 애들엄마가 내게 불만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가끔 외식을 제외하면 대부분 생협 먹거리로 식사를 준비하는 애들엄마와 달리 나는 애들과 식당에서 사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끔 집에서 먹어도 가공식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건 순전히 혼자 살면서 게을러진 내 잘못이긴한데, 요즘 혼자 쉽게 먹을 수 있는 온갖 가공식품들이 많다. 사실 그런 것들을 생협 재료로 만들어 먹으려면 훨씬 더 돈이 많이 들 것이다. 물론 그래도 그래야 한다는 건 안다. 아이들을 생각하면 당연히. 그저 귀찮음이 문제이고, 정신없이 바쁜 삶이 문제다.
그래서 최근에는 나도 주말동안 애들에게 제대로 된 음식을 만들어주려고 노력중이다. 새삼 예전의 내가 음식 만드는 걸 좋아했고, 잘 만들었음을 깨닫는다. 그래도 애들이 다녀가고 혼자 남으면 다시 귀찮아진다. 내 뱃속을 채우려고 음식을 만들기에 내 삶은 너무나도 피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