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품절


'아무리 도서관이 거대하다 할지라도 똑같은 두 권의 책은 없다'는 것이다.-22쪽

삶이 불가해하다는 것, 그것이 어느 날 일상에서 툭 튀어나온다는 것, 그래도 삶은 어떻게든 계속 이어진다는 것.-57쪽

느림과 기억 사이, 빠름과 망각 사이에는 어떤 내밀한 관계가 있다.-151쪽

무엇을 읽는다는 것은 "혼자 남은 상태에서 고독 속에서만 발휘되고 대화가 시작되면 이내 사라져버리는 그 지적 능력을 계속해서 누리는 상태에서 다른 사유와 소통하는 것"이라고 했다. -152쪽

<박사가 사랑한 수식> 같은 책을 읽다가 수학의 아름다움에 잠깐씩 넋을 잃곤 했다(수학에 대해서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허수라는 것은 양수만 생각한 사람들에게 놀라운 유연성을 선물했다는 것. 음수는 사람들이 이루지 못한 꿈과 가능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 혹은 사람들이 이루지 못한 꿈이 너무 많아서 음수를 만들어냈다는 것. 분수란 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수많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 사람과 사람 사이엔 분수만큼이나 많은 다양성이 있다는 것).-166쪽

다른 존재가 된다는 건 곰곰이 생각해보면 다수적인 것, 익숙하고 통념적인 것에서 벗어나는 것, 지독하게 실천적인 것, 전복(顚覆)을 사랑하는 것, '진리란 무엇인가?'라고 묻지 않고 '어떤 진리냐?라고 묻는 것, 새로운 영토를 만드는 게 목적이 아니라 머물고 있는 곳이 어디든 항상 떠날 수 있는 태도를 갖는 것에 달려 있다.-177쪽

"놓쳐버린 추억은 필요 이상으로 고약하다. 그것은 삶을 꾸며내기 위해 끊임없이 말한다."-211쪽

지식과 무지, 열렬함과 무관심, 들끓음과 평온함, 불일치와 확신, 폭력과 평화, 갈망과 관찰, 거대한 우주 앞에서 우리는 이런 식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275쪽

왜냐하면 책이란 다름 아닌 사랑의 다른 표현에 지나지 않고 결국 어떤 책을 사랑하느냐는 그 사람의 속성, 그 사람의 자존감, 그 사람의 희망, 그 사람이 꿈꾸는 미래, 그 사람이 살아온 삶, 그 사람의 포용력, 그 사람의 사랑에 대해 더할 나위 없이 정확히 짚어주기 때문이다.-27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 생일날 읽은 책이다.... 어린이날은 늘 북적거려 오히려 외출하기 보다는 집에 있기가 더 편했다. 조용히 자신을 드려다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생일이니까... 부모의 따뜻한 사랑과 미소가 절로 나오는 추억을 조금씩 느끼면서, 부드럽고 따뜻하고 재미를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
베티B.영 / 이레 / 1998년 12월
절판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격언이 있다. -27쪽

모든 관계에는 의식적인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다. 좋은 관계도 계속 그런 상태를 유지하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부모님의 사랑의 역사도 즐거움과 함께 수많은 고난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의 사랑을 가꾸어나가고 그 관계를 신성하게 유지하려는 두 분의 노력, 세월과 더불어 그 성격은 변모해 갈지라도 서로의 사랑에 기꺼이 솔직하고자 하는 마음, 건강하고 지속적인 결합을 위한 헌신, 상대방의 친절에 대한 감사의 마음, 서로에게 봉사하고자 하는 경애심, 서로에게 바치는 존경과 그에 수반되는 모든 수고들은 도무지 영속적인 것이란 없어 보이는 이 시대에 사랑을 이해하고, 사랑이 영원할 수 있음을 믿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몇 가지 해답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96쪽

농촌생활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조명하는 기회를 일상적으로 제공해 준다.-111쪽

"규칙을 따른다는 것은 초점의 문제야. 버레스 양. 초점은 자기 훈련의 문제고. 무엇인가를 잘하려면 자기 훈련이 필요한 거야. 빈스 롬바르디가 언젠가 말하기를, '한 사람의 인생의 질은 그의 노력에 비례한다'고 했지. 내가 네 행동을 다스리게 만들 게 아니라 너 스스로 네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기바란다. 그럴 수 있겠나?" "네" 나는 힘주어 대답했다. -141쪽

자신을 정복하는 것보다 더 고귀한 목표는 없다. 자기 자신의 마음을 단련시키는 연습과 그 생각들을 훈련시키는 법을 배우도록 해. 초점, 자기훈련, 책임... -142쪽

추억이란 한 차례 직접 맛본 행복을 다시 한번 음미하기 위한 거라고 누군가는 말했다. 하지만 무엇이 한 느낌을 다른느낌보다 더 오래 지속되게 만드는 것일까?-157쪽

그들은 우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발견의 기쁨과 즐거움을 깨우쳐 주는 것이기보다 우리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문제라고 생각했다.-204쪽

"우리에겐 실패할 이유가 4천만 가지나 있다. 그러나 변명거리가 될 만한 사유는 단 하나도 없다."-221쪽

우리의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라 장차 힘차게 비상할 수 있는 환경을 묵묵히 창조해 가는 이들을 위해 기도를 드립니다. 그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우리 아이들의 내면적 성장을 돕게 되기를...,그리하여 아이들의 외형적 삶이 기쁘고 목적있는 것이 되기를...,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한다면, 우리는 이 세상을 좀더 안전하고 친절하고 너그러운 곳으로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225쪽

깨끗한 양심만큼 푹신한 베개는 없다.-230쪽

"훌륭한 부모는 그 자녀들에게 뿌리와 날개를 준다. 집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뿌리와 집을 떠나 날아가서 그들이 배운 것을 실습할 날개 말이다." -조나스 살크-표지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나 더운지, 벌써 여름?! 밥을 먹는데 땀이 난다. 짜증이 확 밀려온다. 식당마다 어린이손님은 특별세일이다... 어린이는 특별하다. 어린이는 선물이다. 어린이날에만... 그리고는 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최은희 지음 / 우리교육 / 2006년 3월
구판절판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다 보면, 읽을 때마다 그림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한다. 그런데 매번 그림을 새롭게 읽어 내는 건 언제나 아이들이다. 고정관념에 얽매인 나는 아무리 애써도 전에 발견한 것 이상을 보지 못한다. 상상력이 무뎌진 데다, 책을 마음으로 읽지 않고 눈으로만 보려 하기 때문이다.-69쪽

사람도 가까이에서 오래 부대껴야 그 사람의 눈빛을 읽을 수 있듯, 가슴바닥에 묻어 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듯 숲도 그렇다. -76쪽

검은 붓 선으로 거칠고 단순하게 배경과 인물을 그려 놓은 <까마귀 소년>은 기존의 그림책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갖게 한다. 뭐랄까? 모래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 그 모래바람을 고스란히 맞아 손이고 머릿속이고 입 안이고 온통 꺼끌꺼끌한 무엇이 온몸데 고스란히 남아 있는 그런 느낌. 마음도 덩달아 허허롭게 만드는 그런 그림들로 책이 꾸며져 있다. -150쪽

어른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주저 없이 세상에 내놓을 수 있게 용기를 주고 격려해 주면 된다. 아이가 제 안의 것을 찾는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리면 기다려주고 작은 일에도 칭찬을 해 주면서, 적어도 아이가 다른 잣대에 눌려 기죽고 움츠러드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어른은 그 일만 하면 된다. 아이들은 절대로 어른이 만들어 놓은 깃발을 따라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162쪽

자연은 이렇듯 흐르는 시간에 자신의 몸을 맞춘다.-2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