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스케치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고에 꽂힌 '식물스케치'가 눈에 띄어 바로 집어 들었다.
펼치니, 웬걸, 스케치가 없다. 뭐지, '식물스케일'이다.
저자가 들어가는 말에서 한 말, '식물이 주인공이 아니다. (중략) 식물 자체가 갖는 물리적 속성, 혹은 식물을 통해 주변과 관계 맺는 방식에 더 경도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생명과 성장, 결실과 죽음을 성찰하게 하고, 말없이 위로와 행복을 주는 대상으로서 식물이 갖는 경이로운 지점을 말해보려 했지만, 나의 눈과 발이 자꾸 다른 곳으로 향했기에, 식물을 앞에 두기보다 옆이나 뒤에 두고 발생하는 이야기들을 쓰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식물이 언제나 나의 지척에 있었다는 말이기도 하다(5-6쪽).'
식물의 크기와 비례를 고려하여 생활을 구성하고, 삶의 모양을 바로잡고, 인생의 척도로서 저자는 자신의 세계를 식물의 스케일 아래에서 다루고 있다. 건축 도면의 축소된 크기로 실제 공간을 상상해 보듯이, 저자의 주변에 있는 식물을 통해 자신의 시간을 들여다보고 성찰한 글이다.
어릴 때 읽은 '걸리버 여행기'가 떠오르는 발상, 시선의 산책, 현실을 유예하면서 상상해보기, 이해하기 위해 근거를 찾는 의지가 필요하고, 그리고 자세히 보아야 보이지 않는 숨겨둔 것을 볼 수 있다.
박세미 글을 더 읽고 싶다.
매일 적어도 한 가지 이상 버리기. 스케치하기. 감사기도 실천 중이다.
'숲을 읽는 사람(허태임)', '가만히, 걷는다(신유진)', 읽다가 말다가 하는 중이다.
휴가를 다녀왔고, 아빠의 마지막 휴가일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기분이 전반적으로 다운되어 있고, 이렇게 살면 안되는 데, 그럼 어떻게, 정답이 있을까...
추가로 뉴욕양키스 경기 보는 낙이 있어 다행이다.
거의 매일 카페 가서 책 읽는다. 아이들이 소리 지르고 마구 뛰어다닌다. 여기서 이러시면 안되는 데, 걱정이다, 그들의 미래가.
또한 도서관 봉사 중이다. 책 빌리는 이가 거의 없다. 답답하다.
그리고 나의 서재 방문객이 어마 무시하다. 왜? 서재 지수가 이제야 보이네, 이 점수는 어떻게 나오는 거지, 몰라도 되고, 그냥 저냥, 나도 자주 방문해야 한다.
벌써 구월이다. 하늘은 파랗고 높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