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스케치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고에 꽂힌 '식물스케치'가 눈에 띄어 바로 집어 들었다.

펼치니, 웬걸, 스케치가 없다. 뭐지, '식물스케일'이다. 


저자가 들어가는 말에서 한 말, '식물이 주인공이 아니다. (중략) 식물 자체가 갖는 물리적 속성, 혹은 식물을 통해 주변과 관계 맺는 방식에 더 경도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생명과 성장, 결실과 죽음을 성찰하게 하고, 말없이 위로와 행복을 주는 대상으로서 식물이 갖는 경이로운 지점을 말해보려 했지만, 나의 눈과 발이 자꾸 다른 곳으로 향했기에, 식물을 앞에 두기보다 옆이나 뒤에 두고 발생하는 이야기들을 쓰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식물이 언제나 나의 지척에 있었다는 말이기도 하다(5-6쪽).'


식물의 크기와 비례를 고려하여 생활을 구성하고, 삶의 모양을 바로잡고, 인생의 척도로서 저자는 자신의 세계를 식물의 스케일 아래에서 다루고 있다. 건축 도면의 축소된 크기로 실제 공간을 상상해 보듯이, 저자의 주변에 있는 식물을 통해 자신의 시간을 들여다보고 성찰한 글이다. 

어릴 때 읽은 '걸리버 여행기'가 떠오르는 발상, 시선의 산책, 현실을 유예하면서 상상해보기, 이해하기 위해 근거를 찾는 의지가 필요하고, 그리고 자세히 보아야 보이지 않는 숨겨둔 것을 볼 수 있다. 


박세미 글을 더 읽고 싶다. 


매일 적어도 한 가지 이상 버리기. 스케치하기. 감사기도 실천 중이다.

'숲을 읽는 사람(허태임)', '가만히, 걷는다(신유진)', 읽다가 말다가 하는 중이다.

휴가를 다녀왔고, 아빠의 마지막 휴가일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기분이 전반적으로 다운되어 있고, 이렇게 살면 안되는 데, 그럼 어떻게, 정답이 있을까... 

추가로 뉴욕양키스 경기 보는 낙이 있어 다행이다.

거의 매일 카페 가서 책 읽는다. 아이들이 소리 지르고 마구 뛰어다닌다. 여기서 이러시면 안되는 데, 걱정이다, 그들의 미래가. 

또한 도서관 봉사 중이다. 책 빌리는 이가 거의 없다. 답답하다.

그리고 나의 서재 방문객이 어마 무시하다. 왜? 서재 지수가 이제야 보이네, 이 점수는 어떻게 나오는 거지, 몰라도 되고, 그냥 저냥, 나도 자주 방문해야 한다. 

벌써 구월이다. 하늘은 파랗고 높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OXIQUE(프랑스어로 독, 중독의)에 중독된 프랑수아즈 사강이 전문 의료 시설에서 치료 받는 동안 쓴 일기다.

중독된 상황에서도 그녀는 글쓰기와 책 읽기를 통하여 자신을 해독한다. 그녀는 두렵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문학적으로 생각하고 글을 쓰면서 해독한다. 

그래서 이 글은 '해독 일기'다.

특히, 그녀의 일기와 맞물려 베르나르 뷔페의 아주 강력한 그림이 인상적이다. 진하고 굵은 검은 색의 그림과 글씨가 글의 내용을 뒷받침한다. 사강의 심리 상태와는 반대로 그림은 아주 강렬하다. 반어법 같다고나 할까. 

최근 어디서 읽은 글, "글쓰기는 발현이 아니다.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이 아니다. 이미 있는 것에 대한 해독이다. 당신이 이미 해놓은 것에 대한 해독이다." 사강의 해독은 글쓰기였다. 해독이란 단어에서 두 가지 의미가 같이 떠올라 옮겨 본다.

*해독 解讀 : 어려운 문구 따위를 읽어 이해하거나 해석함. 

*해독 解毒 : 몸 안에 들어간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앰.


그리고 특히, 옮긴이의 말도 참 좋다. 


뜬금없이, 무더위라 하면 1994년 아들이 태어난 해를 잊을 수 없다. 기록은 갱신하기 위한 것이지만, 나에게 더위는 그때가 단연 으뜸이다. 벌써 8월이니, 금방 추위가 오겠지요.   

그래서 지금 할 일은, '내게 반하고, 나를 돌보고, 햇볕에 몸을 그을리고, 근육을 하나하나 다시 키우고, 옷을 차려입고, 끝없이 내 신경을 달래고, 나에게 선물을 하고, 거울 속의 나에게 불안한 미소를 지어 보여야 한다. 나를 사랑해야 한다.(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실패라는 의미를 다른 시각으로 크게 되새긴다. 그 많은 실패를 아무렇지 않게 만드는 글이다. 오히려 실패는 삶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한다. 실패를 이겨내고 견뎌내야만 하는 시각이 아니라 실패를 삶의 구성 요소로 삼을 수 있으며 결핍을 넘어서 새로운 조건의 기반으로 볼 수 있는 자세로 확장시켜준다. 글을 읽으면서 실패한 모습을 되새김하고 후회와 자책으로 돌아가는 무한 반복의 시간이 멈춤 했다.

저자는 프란츠 카프카, 페르난두 페소아, 장 콕토 같은 작가들을 실패의 예로 든다. 우리가 읽고 있는 작품들이 이들의 실패에서 나왔다는 게 놀랄만하지 않는가. 그리고 스스로 실패했다고 여기고, 실패자로 자신을 규정했다는 사실에서 많은 위안을 받았다. 

특히, 번역에 관한 부분과 읽을 줄 안다는 부분을 읽을 때, 실패라는 사실을 의연히 편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모든 책은 번역 불가능하고, 번역가는 덧없는 것을 마주하는 위대한 실패자(54쪽)이기 때문이고, 텍스트를 읽을 때마다 무슨 말인지 몰라 실패를 거듭하지만 의미의 명쾌함이 무에 그리 중요할까, 텍스트는 나에게 말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인 것처럼 보이기(205쪽) 때문에 그것으로 만족한다.  

그러고 보니 실패는 존재 이유, 일상적으로 감당해야 할 몫, 삶의 원동력으로 이제는 '더 낫게 실패하기'가 숙제이다.

그리고 저자의 실패 목록(76쪽/103쪽) 중에서 전화 한 통 넣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전권 완독하기/ 자기 기만의 강력한 유혹에 저항하기/ 책 귀를 접거나, 맹인을 치거나, 크리스티앙 보뱅의 책을 사는 지경까지 나를 놓아 버리기/ 후회하기/ 등이 흥미롭다.

덧붙여 나의 실패에 위로가 되어 준 71쪽 글이 있다. '나는 글을 쓰면서 실패하기 때문에. 혹은 글을 쓰면서 실패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삭제하고 다시 쓸 수가 있는 것이다. 나는 비단 글 쓰는 사람만이 아니라 다시 쓰는 사람recrivain이 되어야 한다.' 

[각별한 실패]를 각별하게 강력하게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살면서 한 번은 가보고 싶다, 그 길을 걷고 싶다,에서 도저히 못 갈 거 같다. 못 가겠다. 안 가겠다,로 바뀐 산티아고 순례길이다. 

저자가 까미노를 걸으면서 수집한 사람들의 말을 글로써 체험한다. 

사람들이 남겨 둔 여러 언어로 된 다양한 말에서 저자가 선택했지만, 그 말에서 내가 또 선택한다.

말, 말, 말이 너무 많다. 넘쳐 나는 세상에 또 끄적거려 보탠다.

누구에게 긍정이든, 부정이든 닿는 말이기를 바란다. 


우리말로 읽을 때 거슬리는 부분이 있다. 'THE'의 의미가 '그'는 맞지만..

WHEN YOU LOSE THE MEANING OF THE WAY, 

REMEMBER WHAT YOUR CAMINO SHOULD BE, 

NOT "THEIR" OR "THE"

길의 의미를 잃었을 때, 

'당신의' 까미노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기억하세요. 

'그들의'나 ''가 아니라(78쪽)


*이 참에 스페인 포르투갈 여행이라도 가볼까,싶다.

*어마 무시하게 비가 온다. 기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뭔지 모를 기분에, 이빨이 날듯 말듯한 근지러움 같은 그런 애매모호하고 집중해도 풀어내기 힘든 그런 기분, 휩싸여 지냈다. 몇 권의 책은 읽었지만, 굳이 뭘 쓴다고, 아니 끄적이겠다고 하면서, 알라딘 서재를 애써 피해 다녔다. 

그런 차에 읽은 '삶을 견디는 기쁨'이다. 지금 네 모습 그대로 받아 들이고, 힘들면 잠 좀 자고, 음악 듣고, 시를 짓고. 산책하고, 삶에서 고통은 당연지사이고 받아 들일 수 있는 능력은 충분하게 가지고 태어났으니, 그저 받아 들이라고, 결국 누구에게 칭얼대어도 '도착지는 모두가 다 같다. (중략)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 한다(81쪽).' 

힘이 되면 받아 들이고 아니면 말고, 견딜 수 있음도 기쁨이 되니, 견뎌 보는 기쁨도 누려보고 싶다. 매번, 언제나 행복할 수는 없는 삶이니, 일어났던 수많은 괴로운 일에게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즐거웠던 순간들에게 마음을 주고 싶다.

책을 펼치면 명언, 그림, 시들이 가득하여 행복하게 사는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행복은 작고 소소한 일상에서 반짝이고 있다. 눈을 돌리고 거둬들이고 받아들이면 된다. 그러한 수고 정도는 견뎌낼 만하다. 


:스크루테이프의 편지(C.S. 루이스)는 고참 악마 스크루테이프가 자신의 조카, 신참 악마 웜우드에게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을 유혹하는 방법에 대하여 충고하는 31통의 편지이다. 특히 '사랑하는'으로 시작되는 편지에서 편견은 깨졌고, 환자는 사람을, 원수는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글을 재해석해서 읽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저자가 글 쓰는 데도 어려웠겠다는 생각이 감히 들었다.   


:작별곁에서(신경숙)는 읽다 보니, 지난번에 읽은 글이라 덮었다.


:성경 한눈에 보기 구약(전희준)은 구약에 관한 성경 공부를 끝내고, 공부하면서 이해가 잘 안되고,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서 읽었다. 개론서로 충분했다.  


:에세이의 준비(강보원)는 글을 좀 잘 써보고자 하는 욕심이 앞서서 집어 들었다. 준비는 형식이다, 글을 쓰기 위해 호흡을 가다듬기, 연필 깍기, 책상 정리, 책 읽기까지 내가 글을 쓰기 전에 하는 모든 일들이 준비에 해당한다. 준비라는 말은 많은 위안을 준다. 나도 준비 중이다.  


:추락(J.M. 쿳시)은 번역을 엄청 잘했다. 그냥 빠져든다. 아들이 자꾸 떠올랐다. 각자 잘하자. 자신의 일만 잘해도 된다, 주제와는 좀 먼 듯하지만 암튼, 그랬다. 


:더 나은 실패(김미현)는 조금만 읽어서 아직이다.


그러고 보니 시간이 많이 빨리 흘렀다. 2달 간 구약 성경 공부와 2년 가까운 논어 공부를 마쳤다. 도서관 봉사를 하고 있다. 퇴직하면서 한 주에 배우는 하루와 봉사하는 하루를 정했는데, 그런대로 지키고 있긴 하다.

내일은 부모님 보러 간다.  


다음과 같이 살아봐야겠다. 


화요일에 할 일을

목요일로 미루는 일을
한 번도 하지 못한 사람이 나는 불쌍하다.
그는 그렇게 하면 수요일이 몹시 유쾌하다는 것을
아직 알지 못한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 182쪽/2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