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버지니아 울프가 런던 거리를 산책하면서 관찰한 자극들을 소개하는 여섯 편의 글을 읽었다.
첨부된 지도가 있어 시간과 공간을 건너 와 그녀와 함께 걷는 듯했다.
특히 카라일 하우스와 하원의사당을 지날 때는 더 오래 머물게 되면서 마음이 사로 잡혔다.
"런던 부두의 짠내를 맡으며 출발한 산책은 옥스퍼드 거리의 북새통을 지나 첼시의 칼라일 하우스, 햄스테드의 키츠 하우스를 거쳐 다시 런던 한복판의 대성당과 사원과 하원의 사당을 통과해 주택가 골목으로 접어든다. 런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익숙하고 상징적인 장소들이다. (110쪽)"
Ⅱ.
앨리 스미스 '가을' '겨울' '봄' '여름' 시리즈를 차례로 읽으려 쟁였다가 그만 치웠다. 겨우 읽은 '가을'의 요점을 밑줄 긋기로 옮겨 본다. 나와 완전히 다른 타인에 대하여, 더 나아가 작금의 현실에서, 나의 이야기로 가장 적절하게 대처하기로 어떻게 선택하느냐가 벌써 가을인 나의 삶 앞에 있다.
"세상을 만들어 내는 건 아무 의미 없어요. 엘리자베스가 말했다.
실제 세상이 이미 있으니까요. 그냥 세상이 있고, 세상에 대한 진실이 있어요.
네 말은 그러니까 진실이 있고 그것의 가짜 버전이 따로 있는데 우리는 그 가짜를 듣고 산다는 거로구나. 대니얼이 말했다.
그게 아니라 세상은 실재해요. 이야기들은 만들어지고요. 엘리자베스가 말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덜 진실인 건 아니지. 대니얼이 말했다.
그건 초강도 헛소리예요. 엘리자베스가 말했다.
그리고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야말로 세상을 만들어 낸단다. 대니얼이 말했다.
그러니까 늘 네 이야기의 집에 사람들을 반겨 맞으려고 해 보렴. 그게 내 제안이다. (157-158쪽)"
"친애하는 대니 오빠, 문제는 결국 우리가 자신의 상황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야. 우리가 어디 있는지 어떻게 보고, 할 수 있다면 또렷하게 볼 수 있을 때 절망하지 않고 가장 적절하게 대처하기로 어떻게 선택하느냐야. 희망은 바로 그거야. 이 세상에서 사람들이 타인에게 하는 부정적인 행위들을 우리가 어떻게 다루느냐, 그것뿐이야. 그들도 우리처럼 모두 인간이라는 것을, 사악한 것이든 정당한 것이든 인간의 모든 것이 우리에게 이질적이지 않다는 것을,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는 이 세상에 눈 깜짝할 순간만 머물 뿐이라는 것을 기억하면서. 그런데 그 눈 깜짝할 순간은 다정한 윙크일 수도 있고 자발적인 무지일 수도 있는데 자신이 두 가지 다 가능한 존재임을 우리는 알아야 해. 그리고 악이 턱까지 차 있다 해도 그 너머를 볼 준비를 해야 해. 그러니까 중요한 것은 시간, 우리의 시간이 아직 남아 있는 동안 그것을 허비하지 않는 거야. (247-.248쪽)"
Merry Christmas!
50여년 전 산타가 두고 간 굴뚝 과자가 먹고 싶고, 성탄절을 위한 찬양과 연극 준비, 선물 교환, 새벽송 등이 그립다. 색종이로 성탄 장식 한 우리집 대문까지.
며느리가 아아만 마시는 나에게 게이샤 등등 콜드브루 몇 병을 선물로 보내왔다. 고마웠다.
난 엄마 생신 축하하러 부모님 만나고 왔다. 최근 엄마보다 한 살 많은 이모가 돌아가셔서 엄마의 총기가 반 이상 줄었다. 올해 엄마는 절친과 언니와 이별했다. 사는 게 슬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