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최은희 지음 / 우리교육 / 2006년 3월
구판절판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다 보면, 읽을 때마다 그림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한다. 그런데 매번 그림을 새롭게 읽어 내는 건 언제나 아이들이다. 고정관념에 얽매인 나는 아무리 애써도 전에 발견한 것 이상을 보지 못한다. 상상력이 무뎌진 데다, 책을 마음으로 읽지 않고 눈으로만 보려 하기 때문이다.-69쪽

사람도 가까이에서 오래 부대껴야 그 사람의 눈빛을 읽을 수 있듯, 가슴바닥에 묻어 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듯 숲도 그렇다. -76쪽

검은 붓 선으로 거칠고 단순하게 배경과 인물을 그려 놓은 <까마귀 소년>은 기존의 그림책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갖게 한다. 뭐랄까? 모래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 그 모래바람을 고스란히 맞아 손이고 머릿속이고 입 안이고 온통 꺼끌꺼끌한 무엇이 온몸데 고스란히 남아 있는 그런 느낌. 마음도 덩달아 허허롭게 만드는 그런 그림들로 책이 꾸며져 있다. -150쪽

어른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주저 없이 세상에 내놓을 수 있게 용기를 주고 격려해 주면 된다. 아이가 제 안의 것을 찾는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리면 기다려주고 작은 일에도 칭찬을 해 주면서, 적어도 아이가 다른 잣대에 눌려 기죽고 움츠러드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어른은 그 일만 하면 된다. 아이들은 절대로 어른이 만들어 놓은 깃발을 따라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162쪽

자연은 이렇듯 흐르는 시간에 자신의 몸을 맞춘다.-2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