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 일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4
장 주네 지음, 박형섭 옮김 / 민음사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부터 혼란스럽기 시작하여 마지막 페이지에 이를 때까지 이 모든 내용은 문학으로서 쓰여진 것이다, 문학으로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스스로 상기하며 읽어야했던 책이다.

작가가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라 작가의 실제 생활 (그렇다. '경험'이라는 단어보다 '생활'이라는 단어가 어울린다. 경험이라고 하면 웬지 단기간, 끝이 정해져 있는, 단발성의 의미가 떠올려지기 때문이다)을 그린, 제목 처럼 '일기'인데 결코 평범한 일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책 표지에 보이는 저 에곤 쉴레 그림 속 두 남자의 포즈로부터 짐작이 될까?

프랑스 파리에서 사생아로 태어난 장 주네. 그는 태어난지 일곱달만에 어머니로부터 버려졌고 파리 빈민 구제국을 거쳐 다른 집에 위탁되어 성장한다 (그 후 어머니는 주네가 아홉살때 세상을 떠난다). 초등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직업학교에 들어갔으나  절도, 무임승차 등으로 교도소에 수감되었고, 교도소에서 시를 쓰기 시작한다. 탈영, 도둑, 남창 생활 하며 유럽 전지역을 방랑 생활. 다시 교도소에 수감되어 소설과 시를 집필했는데 그의 작품이 어떻게 싸르트르의 인정을 받게 되었고, 장 콕토, 시몬 드 보봐르, 자코메티 같은 유명 작가와 예술가와의 친분으로 이어져서 장 주네의 창작 활동에 중요한 영향과 도움을 주게 된다.

이 책 <도둑일기>를 그의 나이 서른 여덟, 1949년에 발표하였다. 절도죄로 종신형 선고, 문인들의 탄원 덕분에 특별사면, 자살 시도, 전쟁 반대 시위 참여, 인권 운동 단체 투쟁 가담 등, 참으로 순탄치 못한 생활을 하였는데 그러던 중 후두암 증상이 나타났고 7년 후 1986년 파리 방문차 왔다가 파리의 허름한 호텔방에서 숨을 거두었으며 평소 유언에 따라 죽기 전까지 머물던 모로코의 산기슭에 묻혔다. 

작가이기 전에 도둑 생활부터 시작하였고, 그래서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교도소라는 제한되고 생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밀폐된 장소 (작품속에서 그는 교도소를 성소(聖所)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그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꿈이라고도 했다) 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감옥은 내게 최초의 위안을, 최초의 평화를, 최초의 친근감을 주었다. 그것은 바로 불결한 세상 속이었다. 그처럼 고독했기 때문에 나로서는 스스로를 벗으로 삼을 수  밖에 없었다. 나의 외부 세계. 그 무한성, 밤이면 한층 더 완벽해지는 혼란에 직면함으로써, 나는 그것을 신의 경지로 받아들일 정도였다. 그것은 신이 선택한 방법인 시련, 절망의 기슭에서 방황하는 괴롭고 기진맥진한 시련을 통한 것이기는 했지만, 특별히 고려하여 인도된 수많은 주의와 경계의 대상, 사랑받는 구실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 수많은 일들의 유일한 목적이기도 했다. (121쪽)

그가 처음 교도소에서 쓴 시 제목이 <사형수>이다. 차라리 교도소에 계속 있었으면 그의 인생이 달라졌을까? 탈영과 절도를 반복하고 불법과 반도덕, 반윤리적인 생활을 일삼았다. 특히 그는 남창으로서 같은 남자들에게 인기있는 여자 역할을 한 사람이었고, 남자들끼리의 사랑, 질투, 성적 행위 등을 책 속에 숨김없이 묘사해놓았다. 이 책은 다름아닌 그러한 그의 생활의 기록이다.

그래도 이 책은 읽을 가치가 있는가, 싸르트르나 장 콕토, 시몬느 드 보봐르의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 그렇게 결정적인가, 읽으며 이런 생각들을 안 할 수 없었다. 문학이니까. 논픽션으로 읽지 말고 문학으로서 읽어야지, 하고 생각하려니 그럼 문학이 무엇인데? 라는 물음이 생기기까지 했다.

그가 사용하는 비유나 표현들이 수월하게 읽히지도 않는다. 번역도 의심을 해본다. 자기 세계를 확인하면서도 바깥세계와의 단절을 힘들어하기도 한다. 더럽고 소외된 생활이라고 하면서도 그 생활에 만족하기도 한다. 도둑질을 하면서도 배반을 거부한다. 불법적 생활을 하면서도 신과 신성함에 대해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 혼란과 이해 안됨 속에서 가끔씩 가슴을 쿵 울리는 문장들이 나타난다. 자기의 감정, 행동, 본질에 대해 사유하고 의미를 붙이고 가치를 찾는 그의 끊임없는 노력의 흔적이 느껴지는 문장들이다.

신성성 (神聖性), 그것은 바로 고통을 유익하게 사용하는 데 있다. 5년 전부터 나는 여러 권의 책을 펴냈다. 나는 그 일을 즐겁게 해 왔지만 이제는 끝을 낼 것이다. 나는 글쓰기를 통해서 내가 추구하고 있던 바를 얻었다. 나에게 가르침을 주고 내 삶을 이끌어 온 것은 나의 체험이 아니라 그 체험을 이야기하는 태도였다. 즉 다양한 일화들이 아니라 예술 작품들이었던 것이다. 삶이 아니라 그 삶의 해석이었던 것이다. 그것은 삶을 환기시키고 그것에 대해 말하고 표현하기 위해 언어가 내게 제공해 주는 것이다. (297)

 

나 같은 독자들을 위해 말해주는 것 같다. 그의 글은 그의 체험으로서가 아니라 체험을 이야기하는 태도로서 읽어달라고. 다양한 일화들이 아니라 예술 작품들이었다고.

더불어, 엉뚱하지만 전혀 무관하지 않은 혼자만의 생각이 결론을 대신한다. 작가이든 아니든, 살아있는 동안 글을 쓴다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그것은 내 삶을 해석하고 환기시키는 행위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