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에

                                  - 김   종   길-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도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險難)하고 각박(刻薄)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 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5-01-01 00:24   좋아요 0 | URL
김종길(金宗吉)



1926년 경상북도 안동 출생

혜화전문학교 국문과, 고려대 영문과 및 동국대 대학원 졸업

194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문(門)>이 입선

1955년 『현대문학』에 <성탄제>를 발표하며 등단

1965년 시론집 『시론』 발간

1986년 『김종길 시전집』 발간



시집 : 『성탄제』(1969), 『하회(河回)에서』(1977), 『황사현상』(1986)




로드무비 2005-01-01 13:22   좋아요 0 | URL
수암님, 새해 아침이 밝았습니다.

아침엔 책상머리를 정리했어요.

무심코 책이며 팸플릿이며 메모지며 올려놓았는데 그거 정리하는 데만

꼬박 한 시간이 걸리더군요.

아무튼 뒤죽박죽 쌓여 있던 것들을 정리하고 나니 기분이 상쾌합니다.

수암님, 2005년 한 해도 건강하셔서 더욱 멋진 서재 꾸려주시기 바랍니다.

김종길 시인의 시는 마치 세뱃돈같군요.

교과서에 오래 전 실렸던 시인데 새해 아침에 읽으니 참 좋습니다.

水巖 2005-01-01 15:31   좋아요 0 | URL
교과서에 실렸던 시 이군요. 우리땐 없었는데요. 새로운 해를 맞어 책상정리하시는 모습 보기 좋군요. 로드무비님도 더 멋진 서재 주하와 함께 펼쳐주시기를 바랍니다.
 

                            제야의 종

                                                      - 공    중    인  -


             

              그  소리,  온  누리에  퍼질듯이
              연연  하늘에  닿아,  바다에  구비치듯이
              오 !  제야의  종아,  울어  울려라


              신음에  떠는  비극의  밤을  몰아내며
              부상입은  육체에  사는  내  영혼의  몸부림처럼
              세월의  아씨여,  너의  마지막  오열을
              내  시심에  비껴  가  없이  울려라
              은은히,  느리게,  그리고  머얼리 !


              갖은  초조와  절망과  비분과 ......... ,  이들은
              모다  너와  함께  떠나는  정다운  영원의  길손 !
              이  밤이  가기전에,  너와  나의
              마지막  이별을  위하여  영애야,
            「비창」의  곡을  들려다오 !

              이젠  것잡을 수  없는
              나의  흘러가는  사랑이여
              가고  오지  않는  별의  이름처럼
              내  가슴에  길이  새기리다


              ( 1957 년.  ............... 울고,
              전진하고,  허우적거리고 ........... .)


              오 !  울려라,  제야의  종,  이대로는
              갈 수 없어  정영  돌처럼  기다리던
              우리의  목마른  사연을  꽃 피우기  위하여
              예명의  기수를  맞어  울어,  울려라,  오 !
              너의  뜻이여,  너의  외침,  너에의  열망이여 !


              몇번이나,  공허한  내  가슴의  복판에
              허무는  눈보라처럼  휩쓸렸던가 !
              설음에  겨워,  멀미나는  나의  고달픈  울음을
              이제야  나의  귀는  듣고  있다
              오 !  나의  종소리 !
              새론  아침이  오면
              나의  양심의  괴로움을  해의  앞에  쬐우리 !
              그것은  너의  自我를 보다  크게  하리니 ........ .

              울려라 !   제야의  종.  열렬히 울어  울려라
              세월은 막을 수  없나니,  너두야   잘  가거라
              내일,  해가  솟으면
              옷을  갈아 입고  새론  노래를  마련하여
              바람처럼  가벼히  새 해의  신혼을  맞으리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4-12-31 23:44   좋아요 0 | URL
어느해 신문에 난 제야의 시, 요사이는 그런 시가 잘 안 보이는것 같다.

그 시절의 시가 반 백년이 가차운데 왜 이렇게 가슴에 와 닿는지 모르겠다.
 

 

 

 

 

 

 

 


   껍데기는  가라

                                - 신   동   엽 -


  
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과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연 2004-12-21 08:40   좋아요 0 | URL
아..오랜만에 보는 신동엽 시인의 이 시. 퍼갈께요~^^

水巖 2004-12-21 08:46   좋아요 0 | URL
EBS의 문화사 시리즈 2편 '100인의 증언, 60년대 문화를 말 한다' 3부에 낭송되었지요. 다음날 올린다고 하다가 깜빡했어요.



 

                           어머님, 지금 계신 곳은


                                                                      -  조    병    화  -

            

              어머님, 어머님이 지금  계신  곳은
              어디  십니까

 
              정말,  그곳  저승엔  극락세계가  있고
              지옥의  세계가  있습니까

 
              날이  갈수록  요즘엔  그것이  궁금해집니다
              참말인지,  그저  하는  말인지
              그것을  알고  싶습니다

 

              이제  이  이승의  길  끝머리에서
              수시로  알고  싶은  것은
              이제부턴  어디로  가는지
              그  행선지이옵니다

 

              그  행선지,  그것은  모르나
              어머님이  어디에  계신지,  그것은  모르오나
              소원은  하나
              그저  아프지  않게  그곳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이  세상  만가지  천가지
              만졌던  거,  버리기엔  아까운  거
              정들었던  사람,  다  버리고
              그저  훅,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어머님이  주신  노자로
              지금까지  인생을  참으로  후회  하나없이
              골고루  다  살었습니다
              이젠  얼마  남지  않은  노자
              그저  얼른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어머님,  정말  지금  어디에  계시옵니까
              사람들이  흔히들  말하는  그러한
              천당이다,  극락이다,  지옥이다,  하는
              곳이  있습니까.

 

           


 


                                           ( 1989. 12. 7 )


                                                      시집 - 후회없는  고독 - 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12-06 1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곤

                                                           - 조   병   화 -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곤  돌아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흘리곤  돌아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말리곤  돌아가겠습니다
              제  몸에서  당신이  주신  눈물,  그  흔적
              말짱히  가시거든  돌아가겠습니다

 


              구름을  보아도,  하늘을  보아도
              노상  비켜  서서
              먼  산을  보아도
              노을을  보아도
              흐르는  개울,  나부끼는  풀바람을  보아도
              작은  벌레,  찌  찌  눈을  보아도
              혼자  나오는  눈물
              당신이  주신  눈물
              철없이  흘리는  눈물  죄송합니다

 


               한  번도  짙은  내  말  써  보지  못하고
               한  번도  짙은  내  얼굴  가지지  못하고
               한  번도  짙은  내  자리  세워  보지  못하고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나를  사는
               나의  해와  달
               아직  남아  있는  눈물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거든  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흘리거든  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마르거든  가겠습니다
              제  몸에서
              당신이  주신  눈물,  그  흔적
              말짱히  가시거든  가겠습니다
              당신  곁으로.


 

                                                                                 - 시집  [ 어머니 ] 에서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4-12-05 14:08   좋아요 0 | URL
어머님 제사가 다가옵니다. 내일, 모래, 글피 ㅡ 경희의료원 어느 병실 지금 찾어가도 누워 계실것만 같은데 어언간 16년이 지났답니다.

sweetmagic 2004-12-05 16:2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다시 찾아볼까 하던 신데 ^^ 수암님이 이렇게 올려주셨네요 ^^

stella.K 2004-12-05 16:22   좋아요 0 | URL
그러셨군요. 많이 그리우시겠습니다. 저는 가끔 13년 전 작고하신 아버지가 그리워요. 평소 때 생각 안 할려고 노력하죠. 생각하면 슬퍼지니까...추천하고 가요.^^

水巖 2004-12-05 17:22   좋아요 0 | URL
매직님, 매직님도 무슨 날에요?(서재에 갔었는데...?)

스텔라님, 나는 가끔 생각합니다. 내가 죽으면 딸들이 슬퍼할까 하고요.

sweetmagic 2004-12-06 21:17   좋아요 0 | URL
제가 좋아하는 친구의 어머님 생신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