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카인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에 「눈먼 자들의 도시」라는 영화를 보고 동명의 원작소설을 읽으며 주제 사라마구를 알게 되었다. 주제 사라마구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통렬한 비판을 읽었다. 그때 주제 사라마구의 작품세계를 어느 정도 인식했다고 할 수 있겠다. 아주 오랜만에 구약성서의 재해석이라는 그의 신작을 『카인』을 읽게 되었다. 『눈먼 자들의 도시』가 묵시록의 재해석, 『예수복음』은 신약성서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물론 주제 사라마구만의 시각으로 보는 여호와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작품이기도 하다. 

 

  굳이 성서의 내용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카인이라고 하면, 에덴의 동산에서 쫓겨난 아담과 하와의 첫째 아들이며 양을 치는 자 아벨을 죽인 자라고 알고 있다. 똑같이 여호와께 제사를 지내도 자신보다는 동생인 아벨을 더 사랑한다고 여긴 카인은 동생을 돌로 쳐 죽이게 되었다. 부모로부터, 여호와로부터 도망친 그가 도망자의 땅 방랑자의 땅인 놋의 땅으로 가 어떤 삶을 살게 되었을까가 이 소설의 주요 내용이다. 여호와는 왜 아벨 만을 사랑하셨을까? 똑같이 제사를 지내도 왜 카인의 제사는 거부하셨던 걸까. 여호와는 카인에게 어떠한 형벌과 의무를 주시려고 했던 걸까.

 

  놋의 땅에서 카인은 이름을 묻는 사람들에게 죄지은 자인 카인의 이름을 뒤로하고 자신이 죽인 동생의 이름 아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여호와가 자신의 이마에 내준 표식조차 원래부터 있었던 거라며 카인 스스로 자신의 이름을 거부했다. 여호와께 버림받은 카인은 스스로 거짓된 이름으로 거짓된 삶을 살게 되는 걸까.

 

  여호와에게서 거부당한 카인이 하는 일이라고는 많지 않았다. 카인은 정처없이 걷다가 양 두 마리의 줄을 끌고 가는 노인을 만나며 놋의 땅으로 들어가게 된다. 농사를 짓던 카인은 그곳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진흙을 밟는 일 밖에 없었다. 진흙을 밟는 일을 하다가 그 곳의 주인인 릴리스의 눈에 띄어 주인의 숙소로 들어가게 되었다. 주인의 집에서 그가 하는 일이 무엇일까. 그곳에서 카인은 릴리스의 침대 시중을 드는 이, 주인을 지켜주는 일이었다. 그녀에게 쾌락을 선물하고 그녀에게 아이를 갖게 하는 의무가 주어진 것이다. 릴리스의 남편인 노아가 그런 그에게 질투를 느껴 죽이려하자 카인은 또다시 여행길에 오르게 된다. 여행길을 나서며 또 양 두 마리의 끈을 잡고 걸어가는 노인을 만나게 된다. 그 노인의 형상으로 나타난 여호화가 아니었을까.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말 또한 그 나름의 이유와 원인이 있다. 어떤 말은 마치 대단한 일을 할 운명인 것처럼 엄숙하게, 오만하게, 우리를 부르지만 결국에는 너무 가벼워 풍차의 날개 하나 움직이지 못하는 바람에 불과하다는 것이 드러나고, 반면 평범하고 습관적인 말, 매일 사용하는 말이 결국 누구도 감히 예측할 수 없었던 결과를 낳아, 그런 목적으로 태어난 것이 아니지만 세계를 흔들기도 한다. (61~62페이지)

 

 

 

  그는 여행 중에 무엇을 보았을까. 한 어린 소년의 목소리를 들었다. 하나님에게 번제할 어린 양을 어떻게 하느냐는 염려섞인 목소리였다. 이는 아브라함의 믿음과 복종을 시험하는 여호와께 아브라함이 자신의 어린 아들 이삭을 신에게 바치려는 광경이었다. 카인은 아들을 죽이려는 아브라함의 행동을 보고는 신에 대한 비난의 말을 서슴치 않았다. 또한 성의 관습이 느슨한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 또한 신이 시킨 일이었다. 불에 타버린 소돔과 고모라에도 틀림없이 죄가 없었던 아이들이 있었겠지만 죄없는 아이들의 목숨까지 가져간 하나님을 이해할 수 없어했다. 어찌 신으로서 죄없는 아이들을 죽일 수 있단 말인가. 

 

오랜 세월에 걸쳐 인간의 행동을 살펴볼 때 그 많은 어두운 면, 그 모든 아름다움, 웅장함, 장엄함이 있는 삶을 받을 자격이 없다는 거야, 한 천사가 대답했다. 그 두 가지는 같은 이야기가 아니야, 두 번째 천사가 덧붙였다. 똑같지는 않을지 모르지만 거의 같죠. 바로 그 거의라는 말에 차이가 존재하는 거고, 그 차이는 아주 큰거야. 내가 아는 한 우리 인간은 절대 스스로 우리가 삶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 묻지 않아요. (190페이지)

 

  신에 대한 카인의 끝없는 의문은 결국 신이 노아에게 지시한 '노아의 방주'에 까지 이르게 된다. 하나님의 명령으로 방주를 짓기 시작한 노아는 인류의 번성을 위해 노아의 세 며느리들과의 교접을 카인에게 권했다. 노아의 가족들만 살리려는 신의 뜻을 거부해 카인은 노아의 아내와 며느리들과 교접을 했을 뿐더러 신이 노아에게 지시한 것들에 대한 거부의 몸짓, 행동을 하게 된 것이다. 새로운 인류를 만드려는 신의 뜻에 반하는 행동을 했다.  

 

누군가 당신에게 당신의 진정한 얼굴을 보여줄 날이 와야만 했습니다. (206페이지)

 

  성서에 대해 대략적인 이야기만 알고 있는 우리에게 주제 사라마구는 현재의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소돔과 고모라를 파괴시켰듯, 노아의 방주로 새로운 인류를 만들려고 했던 신의 뜻에 반해 신과의 논쟁을 즐겼던 카인의 얼굴은 최근의 우리의 모습과도 일치한다. 카인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 그리고 신과의 대립,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과 하나도 다를게 없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