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로키언
그레이엄 무어 지음, 이재경 옮김 / 비채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최근 셜록 홈스에 대한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았더니 홈스가 더 좋아졌다. 오래전에  홈스를 읽은 것 말고 내가 홈스를 사랑하게 된 것은 아마 셜록 홈스를 연기했던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 때문이 아니었을까.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좋아 그가 나온 영화를 챙겨 보았고, 셜록 홈스를 연기했던 드라마 시리즈도 챙겨보며 셜록 홈스를 더 깊게 알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셜록 홈스가 누구던가. 아서 코난 도일이 창조해 낸 인물로 영국 경찰이 도움을 받을 정도로 사건을 해결하고 추리하는 능력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이는 많은 셜로키언들을 양산했다. 셜로키언이란 셜록 홈스를 실존 인물로 간주하고 셜록 홈스 시리즈를 경전으로 취급하여 각종 연구를 하는 열광적인 팬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소설에서는 아서 코난 도일이 한때 홈스를 죽이고 난 뒤의 이야기가 실려있는 사라진 일기를 찾는 과정이 담겨 있다. 사라진 일기는 많은 셜로키언들에게 일기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했고, 셜록 홈스를 연구하는데 아주 중요한 자료였다. 

 

   '베이커 스트리트 이레귤러스'라는 세계 최고 셜로키언 협회의 신참 회원이 된 해럴드 화이트. 사라진 일기를 찾는 한 셜로키언이 변사체로 발견되고 이 사건을 조사하는 해럴드 화이트의 활약이 2010년의 시간에서 소설의 한 축을 이루고, 셜록 홈스의 그늘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향하는 아서 코난 도일에게 소포 폭탄이 배달되고  배달한 범인을 찾아 나섰다가 의문의 살인사건을 맞는 1900년의 아서 코난 도일의 이야기가 다른 한 축을 이룬다.

 

  과거 아서 코난 도일과 함께 살인사건을 조사하던 사람이 뮤지컬 「드라큐라」로 유명한 브램 스토커였다는 사실도 새로웠다. 또한 아서 코난 도일과 아주 친한 친구였던 오스카 와일드에 대한 언급도 역사 소설에서나 가능한 일이었기에 굉장한 즐거움을 주었다. 아서는 일련의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브램 스토커의 도움을 받았고 그를 의지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두말하면 잔소리. 선생은 본인이 쓰는 내용에 너무 길이 들어서 독자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모르시나 본데, 홈스가 아무리 멋진 싸움 끝에 죽는다 해도 홈스가 죽는 게 싫어요. 홈스가 영원히 살기를 원하죠. (107페이지)

 

  우리가 드라마나 소설을 볼 때 작가가 주인공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때론 즐거워하고 때론 슬퍼하고 또 어떤 캐릭터들을 미워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소설 속 인물에 자신을 투영시켜 다른 삶을 꾸어보기도 하는 상상을 하기 마련이고, 실제 인물인 것처럼 가슴 뛰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내가 한때 보았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서 도민준 캐릭터처럼 같이 아파하고 즐거워하는 것처럼. 만약 이 시리즈가 계속 된다면 우리 또한 도민준이라는 캐릭터에 더 빠져 그를 실제 인물처럼 생각할지도 모른다.

 

  영국인들 또한 마찬가지였다. 사건을 형사보다도 더 깔끔하게 추리하며 해결하는 셜록 홈스를 폭포에서 죽여버린 아서 코난 도일을 이해할 수 없어 했다. 영국인들은 셜록 홈스를 위해 장례식까지 거행하는등 그의 죽음을 슬퍼해 검은색 상복을 입고 다니기까지 했다. 자신은 잃어가고 셜록 홈스만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부담스러웠는지도 모른다. 셜록 홈스를 만들어낸 이가 바로 아서 코난 도일인데도 말이다. 소설속에서처럼 실제로 아서 코난 도일에게 살인 사건에 대해 자문하고 해결해주기를 바랐던 사람들이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

 

해럴드는 셜록 홈스를 믿었다. 물론 홈스 이야기는 '실화'가 아니다. 셜록 홈스를 믿는다는 게 그를 실존 인물로 생각한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홈스 이야기가 주장하는 바를 믿었다. 이성의 힘을 믿었고 추리라는 정밀과학을 믿었다. 셜록 홈스는 그걸 할 줄 알았다. 그렇다면 나도 할 수 있어. 해럴드는 생각했다. (114페이지)

 

  사건이 일어났을때 셜록 홈스처럼 생각하고 셜록 홈스처럼 사건을 추리하기를 즐겼다. 셜로키언들이기에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지만, 모든 작품 속에서의 홈스의 말을 기억했고, 셜록 홈스를 믿었던 것이다. 

 

어쩌면요, 나를 슬프게 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뼈져리게 체감한다는 거예요. 원래 시대의 경계는 훗날 시간이 역사가 된 다음에야 정해지잖아요. 시대를 구분하는 것은 당대가 아니라 후대 학자들 몫이잖아요. (333페이지)

 

  제대로 된 셜로키언은 아니지만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었다. 셜록 홈스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면 꼭 보아야 할 책이 아닌가 싶다. 물론 나처럼 제대로 된 셜로키언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라는 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