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음, 황현산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왕자를 모르는 사람도 있을까. 책을 읽지 않았더라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책 내용이나 제목은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오래전에 읽은 책을 다시 읽는다는 것은 추억을 읽는다는 것. 책의 내용에 대해서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읽어보면 자세한 내용은 생각나지 않는다는 것도 생경한 일이었다. 우리는 읽은 책을 잊어가고 또 읽어도 잊어간다. 우리가 읽은 그 많은 책들을 다 기억한다면 우리 머리는 아마 터지고 말것이다. 이에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 몇부분의 문장들만 생각나고 다른 것들은 잊게 된다.

 

  『어린왕자』의 모든 문장들을 기억한다고 생각했지만 다시 읽어본 문장들은 생경했다. 생경한 문장들을 따라 책 속의 화자가 이끄는 대로 따라갔다. 그가 처음 모자 속의 보아뱀을 그렸던 어린시절로. 그림을 그려 보여주면 어른들은 모자라고만 했었다. 모자 속에 든 보아뱀을 보지 못한 것이다. 그때의 기억들에서 비행기를 타고 사막에 불시착해 고장난 비행기를 고치고 있을때 만난 어린왕자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

 

  양 한마리를 그려달라는 어린왕자와 오래전 그렸던 모자를 그려주자 모자속에 든 보아뱀 그림은 싫다고 했었던 우리의 어린왕자의 이야기를 하게 된다. 무릎도 차지 않는 활화산이 두개, 사화산이 하나인 조그만 소행성 B612이라는 별에 살았던 어린왕자의 여행이야기를 하게 된다.

 

 

 

  어른들은 보이는 것만 보고, 어린아이들은 어른들에게는 보이지 않은 것까지 본다. 어른이 될 수록 상상력은 떨어지고 고정화된 생각에 갇혀있는 듯도 하다. 그래서 작가 생텍쥐페리는 한때 어린아이였던 어른들에게 바치는 이 동화를 썼다. 사실 청소년인 아들에게 이 책을 읽혔으나 그다지 좋은줄 모르겠다는 말을 했다. 초등학교때는 재미있게 받아들였어도 말이지. 아이가 어른이 되어 다시 읽어보면 우리가 밑줄 그으며 읽었던 것처럼 어른이 된 아이도 밑줄을 그으며 다시 감동할지도 모른다. 우리처럼.

 

  이번에 다시 읽을때도 나는 밑줄 대신 색색의 포스트 잇을 붙이며 오래전에 감동했던 문장들과 새롭게 다가오는 문장들에 표시를 했다. 좋은 문장은 다시 읽어도 늘 좋다. 이상하지. 다 잊었다고 생각했던 어린왕자의 스토리가 하나씩 기억속에서 나오고 있었다. 어린왕자가 사막에서 여우를 만났을때 여우가 했던 길들이는 것에 대해 말이다.

 

<길들인다>는 게 무슨 뜻이야?

.........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

나도 세상에 흔한 여러 여우들과 전혀 다를 게 없는 한 여우에 지나지 않는거야. 그러나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우리는 서로 필요하게 되지. 너는 나한테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것이 될거야. 나는 너한테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것이 될 거고 .....  (84~85페이지)

 

 

 

 

  영원히 살아 숨쉬는 문장들이다. 또다른 문장들을 볼까.

 

가령 오후 4시에 네가 온다면 나는 3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 거야. 시간이 갈수록 난 더 행복해질 거야. 4시가 되면, 벌써, 나는 안달이 나서 안절부절못하게 될 거야. 난 행복의 대가가 무엇인지 알게 될 거야! 그러나 네가 아무 때나 온다면, 몇 시에 마음을 준비해야 할지 알 수 없을 거야...... (87페이지)

 

  번역자 황현산 작가가 말했듯 『어린왕자』에서는 여우의 말 때문에 이 책이 더 빛난다. 어린왕자가 지구에 발을 들였을때 처음 만난 것도 뱀이고, 마지막에 만난 것도 뱀이었는데도 말이다. 여우가 어린왕자에게 길들인다는 것에 대해 말하는 문장들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먹먹해질 정도다. 우리는 늘 누군가에게 길들여지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고 노력했었고 실패도 맛보았으니 말이다.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 우물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야..... (97페이지)

 

  같은 문장인데도 왜 매번 감동을 받을까. 다시 읽으면 다시 읽을수록 그 감동은 배가 되어 돌아 온다. 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책인지 알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다시한번 어린왕자를 읽으며 동심으로 돌아가는 나를 발견했다. 어릴적의 나와 만나는 일이기도 하고, 이 책을 처음 읽었던 이십 대 시절과의 만남이기도 했다. 다시 오지 않을 우리의 소중한 한때였던 그 시기와의 조우였던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