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친구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용감한 친구들 1
줄리언 반스 지음, 한유주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적 셜록 홈즈 시리즈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 또한 어린이들이 읽을수 있게 나온 셜록 홈즈에서부터 어른들이 읽는 셜록 홈즈까지 다 읽을 정도로 좋아했던 시리즈였다. 이처럼 세계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은 셜록 홈즈 시리즈를 쓴 작가 아서 코난 도일 경의 이야기가 소설로 나왔다. 『플로베르의 앵무새』의 줄리언 반스가 쓴 소설로 제목은 『용감한 친구들』이나 원제는 『Arthur & George』로 아서와 조지의 이야기이다.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소설의 제목만 보고는 아서와 조지가 굉장한 친구일거라 생각되지만, 어느 한 사건이 있기 전까지는 전혀 모르는 사이였다. 책을 읽기전 내가 생각한 조지는 셜록 홈즈에서 왓슨 박사가 아니었을까 싶었다. 하지만 전혀 아니었다.

 

  총 두 권의 책으로 된 소설에서 1권은 아서와 조지의 성장 과정이 나왔다. 각자의 공간에서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각자의 챕터로 진행되었다. 시작은 어린 아서의 이야기부터다. 아서는 할머니의 시체를 경험하고 엄마의 교육과 헌신 아래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로 자라난다. 그리고 조지가 있다. 목사관에서 목사의 아들로 자라난 조지는 영특한 아이였지만 시력이 나빠 학교 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성경에 써진대로 목사인 아버지의 교육아래 자라난다. 조지는 파르시인 아버지와 잉글랜드 출신인 어머니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아이이다.

 

  아서는 안과의가 되었고 투이라는 애칭을 가진 아내와 결혼하고 아내가 폐결핵을 앓고 있을때 우연히 만난 진 레커에게 무작정 빠져들었다. 아내 투이 몰래 사랑을 키워가는 아서는 진을 사랑했지만 나름의 방법으로 투이가 그 사실을 몰랐으면 했다. 안과를 개업하고 안과의로 일하면서 손님이 없자 시간을 보내는 방법으로 소설을 썼다. 그때 시작된게 셜록 홈즈 시리즈였다. 매회에 사건이 해결되는 이야기를 쓰고자 했던 아서는 오히려 안과에 손님이 없는 것을 즐겼다. 그리고 셜록 홈즈로 인해 명성이 생겼다.

 

  조지의 시련이 시작되었다. 조지의 시련이기보다는 먼저 목사관의 시련이 시작되었다. 목사관으로 이유를 알수 없는 협박 편지가 오기 시작하고, 동네 사람들에게도 목사관에서 보낸 것처럼 편지가 도착하기 시작한다. 몇년이 지난후 사무변호사로 일하고 있는 조지에게 시련이 닥쳤다. 동네의 가축이 도륙당한 일들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경찰은 한밤중에 산책하는 습관이 있는 조지가 그 일을 저질렀다고 판단한 것이다. 사무변호사로 일하고 있었던 조지는 자신의 결벽을 알기에 재판이 진행되는 중에서도 배심원들이 자신에게 무죄라고 평결 내릴 것이라고 철썩같이 믿지만 배심원단으로부터 유죄라고 평결이 내려졌고, 그는 감옥에 수감되었다. 3년 동안이나.

 

 

  

  무죄인데도 오랜시간동안 수감되었다가 무죄 판결 보상을 받았다는 기사가 나왔었다. 죄를 짓지 않았는데도 억울하게 수감되었던 수감자가 다시 무죄 판결을 받고 국가로부터 보상금을 받았던 이야기는 아마 영화 '변호인'이 상영되고 나서 더 회자되었던 걸로 알고 있다. 정의를 실현해야 할 정부와 경찰에서 잘못된 판단으로 죄인으로 몰고 갔던 것이다. 이에 특별사면으로 나온 조지는 셜록 홈즈를 쓴 아서에게 편지를 쓴다. 비서로부터 걸러지던 편지는 우연히 아서의 눈에 띄고 아서는 조지의 무죄를 믿는게 아니라 조지의 무죄를 알았다. 

 

  1권이 아서와 조지의 각자 상황을 알려주는 내용이었고 접점이 없었다면 2권은 조지의 사건을 조사하고 직접 목사관으로 찾아가기까지 한다. 마치 사명을 받은 것처럼 열정적으로 조지의 사면을 위해 앞장섰다. 아서가 조지의 사건을 조사하는 모습을 보면 소설속 셜록 홈즈와 닮았다. 꼭 셜록 홈즈처럼 조사하고 추리하며 비서에게는 왓슨 박스에게 건네는 말처럼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자 했다.

 

  조지 사건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며 아서는 조지가 인종차별을 받아 그렇게 되었다고 하는 대목이 있었다. 조지가 파르시라는 것, 백인이 아닌 갈색 피부를 가졌다는 것 때문에 죄를 짓지도 않았는데 부러 죄인으로 몰고가고 증거를 조작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반면 조지는 자신이 인종차별때문에 그렇게 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생각의 차이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 조지 자신은 영국국교회 목사의 아들로 자랐고, 자신은 당연한 영국인이라고 생각해왔던 반면 앤슨 경찰서장은 그가 유색인종이란게 싫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에서 확실하게 말하지는 않지만 그런 뉘앙스가 풍겼다. 지금도 조금은 인종차별 감정이 남아있는데 1900년에는 오죽했을까.

 

  셜록 홈즈에 대한 이야기를 더 기대했었지만, 아서와 조지에 대한 이야기였고, 조지의 사건을 해결해가는 아서의 이야기가 큰 축을 이루었다. 다른 사람의 사건에도 정의를 실현시켜려하는 강한 면모를 보였던 작가로서의 아서가 있었고,  사랑하는 여자의 남편으로, 심령학에 자신을 내맡겼던 한 남자로서의 아서도 만날 수 있었다. 아서와 조지를 통해 당시 영국 사회의 인종 문제, 사법 세계를 접할 수 있었다. 시대에 따라 삶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정치에 따라 개인의 삶도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것. 지금도 부조리하다고 느껴지는 게 있잖은가. 지금 어딘가에서도 여전히 부조리한 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게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것들을 생각할 수 있던 귀한 시간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