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을 읽으며 냉동된 인간이 깨어난 이야기, 예브게니 보돌라스킨의 비행사를 모티프로 한 소설인가 싶었다. 책을 다 읽고 작가의 말에서 보니 조던 필 감독의 겟 아웃을 모티프로 했다는 것을 알았다. 미래는 이런 일이 가능할까. 많은 돈을 가진 작자들은 이렇게라도 다른 이의 젊은 신체에 자기의 뇌를 넣고 싶은가. 그들의 욕망이 어디까지 향하는지 인간의 탐욕을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영화 겟 아웃의 내용이 궁금해졌다.

 




어떤 소설에서 다른 이의 몸에 심장이식을 했을 때 심장이 기억한 것들의 이야기가 있었다. 모든 사고는 뇌가 결정할 거라고 여겨왔던 것을 바꾼 계기가 되었다. 심장도 과거의 기억을 안고 있다. 뇌는 당연하다. 그럼 다른 사람의 몸에 뇌를 이식했다면 그는 누구라고 해야 할까.

 

 

1988년생의 조정필은 새벽 1시경, 술 취한 운전자의 차에 치여 숨졌다. 보이그룹의 데뷔를 앞둔 멤버 4명이 모두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고를 당해 숨지고 카이(권지승)만 위험한 고비를 앞두고 있었다. 닥터 이어는 카이의 몸에 조정필의 뇌를 이식했다. 새롭게 태어난 이는 한차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차연은 자신의 기억이 당황스럽고 새로운 이름으로 적응하기 바쁘다. 차연을 통제하는 이가 있었고, 그가 움직이는 장소에 따라 확인 작업을 했다.

 


차연이 메리라고 부르는 여성이 그를 아주 중요한 인물들이 모여있는 장소로 데려간다. 그곳에서 차연은 아프고 병든 늙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그가 건강하다는 것과 잘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들이 관심과 호기심으로 차연을 지켜본다. 그들의 검은 속내를 알지 못했다. 그저 자기의 미래를 꿈꾸었다. 겁도 없이.

 


미래에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장하지 못한다. 인간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복제 인간을 어려서부터 키워 그들로부터 장기 적출 했던 소설이나 영화도 있었다. 늙고 병든 부자가 젊은 사람의 몸에 자기의 뇌를 이식하는 일은 미래에 비일비재할지 모른다. 클론이나 뇌 이식 수술 또한 부자들의 특권일 수도 있겠다. 차연이 우주건설 남창선 회장과 남몰래 만나 계약서에 사인할 때 그는 왜 아무것도 예상하지 못했나. 다르게 보면 한심하기까지 했다. 그저 누군가의 성공적인 뇌 이식 수술을 위한 사전 실험대상일 뿐이었다.

 


인간의 존엄성과 도덕적 양심 그리고 책임 의식은 개나 주라는 식이다. 보잘것없는 인간의 목숨 따위 아무렇지 않게 여기는 사람들이 소설 속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지 못하겠다. 아무리 하찮은 사람이라도 인간이지 않나. 탐욕의 끝이 어디까지 향하는지 그것을 보는 듯했다.

 


한차현 소설가의 작품은 처음 읽었다. 영화 겟 아웃을 모티프로 했다지만 이러한 발상이나 문체가 독특했다. 위트와 유머를 가진 매력적인 작가였다. 책의 제목으로 썩 매력적이지 않았다. 제목이 다한 경우도 있으니 얼마나 중요한가 말이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났더니 왜 이러한 제목을 사용했나 이해했다. 기회가 되면 작가의 다른 작품도 읽어보고 싶다. 매력적인 작가임이 분명하다.

 


. 소설을 읽고 겟 아웃영화를 보았다. 훨씬 잔인했다. 아마 화면으로 보니 그랬을테고 인종 문제를 건드렸다. 상품을 고르듯 그를 바라보는 탐욕의 시선이 불편했다. 영화에서 사용한 최면 효과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타인을 사랑한다는 것. 믿는다는 것. 두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늙은이들의가든파티 #한차현 #도서출판강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소설 #소설추천 #한국소설 #한국문학 #겟아웃 #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