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사춘기 소녀에게 반에서 1등을 하지 못했다고 아버지가 욕실로 데리고 가 발에다 뜨거운 물을 부었다. 소녀는 울면서도 아무 말 하지 못하고 다음에는 꼭 1등을 하겠다고 한다. 아버지는 저명한 진보주의 성향의 신문사의 발행인이기도 하고 식음료 업계의 거부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사람에게 기부를 마다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저명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가족에게는 어떻게 하나. 가정 폭력으로 어머니는 임신한 아이를 유산했고, 아이들에게는 공부할 시간표를 정해 그 뜻대로 따라야 한다. 캄빌리라는 이름의 소녀가 열여섯 살, 그의 오빠 자자는 서너 살 위가 아닐까 싶다. 정확히 어떤 시대를 나타내는지 알 수 없지만 이 가족이 사는 법을 보면 답답해 미칠 것 같았다.
더욱이 이해할 수 없었던 점은 자신의 아버지 즉 캄빌리의 할아버지가 토속 신앙을 믿는다 하여 집에 가지 않을 뿐더러 아이들에게도 방문은 하되 마실 것도 먹을 것도 입에 대지 말라고 하며 15분내로 돌아오라고 한다. 우상 숭배자라 하여 멸시하는 것이다. 마음 속에 수많은 말들을 간직하고 있지만 제대로 입밖에 내지 못하는 캄빌리의 일상이 전해진다. 소설은 아버지의 명령으로 영성체를 하지 않겠다던 오빠의 반항으로 시작된다. 무조건 아빠의 명령에 따라야 했던 오빠가 어떻게 자주적이며 주체적인 생각을 하게 되었던가. 스스로 아버지에 맞서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아버지에게서 아이들을 꺼내려는 주체적인 여성 이페오마 고모의 노력이 있었다. 대학교 교수인 고모는 자자와 캄빌리를 자신의 집으로 불렀다. 물도 잘 나오지 않고 전기도 끊겨 먹을 것도 부족하지만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은 세 명의 사촌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어떤 식으로 살아야 하는지, 아버지의 잘못된 점을 깨닫게 된다. 마음속으로 많은 말들을 생각하지만 말할 수 없었다면 이제는 입밖으로 내어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최소한의 단어만 사용하면서도 서로의 말을 이해했다. 두 사람을 보면서 내가 절대 가질 수 없을 뭔가를 향한 갈망을 느꼈다. 일어나서 나가고 싶었지만 내 다리가 내 것이 아닌 양 내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았다. 겨우겨우 몸을 일으켜 세워서 부엌으로 갔다. (205페이지)
아프리카의 삶을 잘 알지 못했다. 아직도 TV에서 비춰지는 아프리카의 가난한 삶을 생각했던 것일수도 있다. 하지만 페미니스트로서 나이지리아의 삶을 제대로 보여 준 아디치에의 작품을 읽으며 그동안 얼마나 편견에 갇혀 있었나 제대로 깨달았다. 캄빌리의 아버지를 보면 우상 숭배를 하는 가난한 자신의 아버지를 멸시하고 나이지리아의 사람들 앞에서는 일부러 영국식 악센트로 말했다. 이는 그가 영국적인 것을 더 나타내고 싶었고 흑인이라는 것을 감추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집 밖에서는 저명한 인사였음에도 가족들한테는 어떻게 했나. 아내까지 억압했고 아이들에게는 체벌을 가했다. 우상 숭배를 한다 하여 파파은누쿠를 만나지도 않았다. 아버지를 거스르고 싶지 않았던 오빠 자자와 캄빌리는 고모의 집에서 비로소 세상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잘못되었음을, 자신의 뜻대로 살아갈 수 있음을 느끼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하고 싶은 말과 하고 싶지 않은 말이 너무 많았다. 독수리 두 마리가 머리 위를 맴돌다 땅에 내려 앉았다. 내가 잽싸게 덤비면 잡을 수 있을 만큼 가까웠다. 깃털 없는 목이 이른 아침 햇빛을 받아 반짝였다. (285페이지)
우리는 스스로 막대를 넘을 수 있다고 믿어서 넘은 게 아니라 넘지 못할까 봐 두려워서 넘었다. (274페이지)
왜 하느님은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아들을 죽여야만 했을까? 왜 직접 우리를 구원하지 않았을까? (346페이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내가 결정할 수 있다는 주체적인 사람으로 살아야 하는 거다. 고모가 주었던 보라색 히비스커스가 살아 남았듯 자신들 또한 자신의 생각대로 움직이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이페오마 고모의 모습에서 여성의 역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가난하지만 행복한 삶이 비춰졌다. 마음대로 음악을 듣고 종교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 모습을 보고 비로소 세상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페오마 고모의 모습에서 저자가 추구하는 페미니스트를 살펴볼 수 있다. 고모를 지켜보며 캄빌리의 어머니 또한 자극을 받지 않았나.
이 책을 읽기 전 어느 소설에서도 페미니스트를 언급하며 아디치에의 이름을 말했는데 그것 만큼 반가운 감정도 없었다. 이 책을 읽어보시라! 놀랍도록 아름답고 눈물이 날 만큼 감동적이다. 새로운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