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전한 나의 집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46
정 윤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서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성장한 작가, 정윤. 그가 말한 가족에 대한 화두는 한국인이 가진 많은 문제점을 도출시킨다. 어렸을 때 우리집에서 혹은 주변 사람들에게 일어나곤 했던 일들이 바로 가족간의 폭력 문제다. 만약 부부싸움을 했을 때 누군가 경찰에 신고했다면 가족의 일이라며 조용히 무마되었던 게 과거 우리나라의 현실이었다. 절대 간과되어서는 안될 문제다. 그럼에도 여전히 일어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니 이 또한 어렵다.
결핍을 메우기 위해 보호되어야 할 가족 구성원에게 폭력을 가한다는 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본다. 어쩌면 비겁하다. 눈 앞의 것에 눈이 어두워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안타깝다. 흔히 말하길 폭력은 대물림 된다고 한다. 부모에게 사랑받았던 사람은 자식에게 사랑을 나눠주는 법이다. 반면 부모에게 학대를 당했던 사람은 자식에게 절대 하지 않아야 할 행동임을 알면서도 부모를 답습하는 모습을 보인다.
미국에 거주하는 대학의 생물학 교수인 경에게는 백인 아내 질리언과 사랑하는 아들 이선이 가족이다. 가까운 곳에 역시 대학교수인 부모가 살고 있어도 서로 모르는 사람들처럼 지낸다. 물론 최소한의 한도내에서 할 일을 할 뿐이다.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가했던 폭력을 보고 자란 경은 부모와 몹시 불편한 사이다. 오래전의 한 사건이후로 더이상 어머니를 때리지는 않지만 경에게 부모는 어린 날의 상처 혹은 고통이었다.
학자금 대출과 무리한 담보 대츨을 했던 경과 질리언은 카드 돌려막기를 하다가 결국엔 집을 내놓을 수 밖에 없었다. 경기 불황으로 집을 구매했을 때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팔아야 하는 경은 방이 여섯 개나 되는 부모의 집으로 들어가자는 질리언의 말을 전혀 반갑지 않다. 공인중개사가 방문한 날 숲 쪽으로 몸에 아무것도 걸치지 않는 여성이 달려오고 그가 어머니 임을 발견한다. 한국말을 모르는 경은 어머니의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고 또 아버지의 폭력이 있었다고 여기게 된다.
하지만 쌍둥이 형제가 어머니를 강간하고 아버지에게 폭행을 가했던 사건이 벌어졌다는 걸 알게 되었다. 자신과 대화하기를 거부하는 어머니와 아버지를 집으로 모셔 온 질리언에게 화를 낸다. 이선과 질리언에게 어떠한 해도 입히고 싶지 않은 경. 그는 끊임없이 지난 날의 기억을 떠올리고 만다. 부모를 보살펴야 하지만 못내 불편한 마음이 들었던 것이다.
제대로 된 직장과 큰 저택, 타인들에게는 더할나위 없는 가족이지만 문을 닫고 들어가보면 상처와 고통 뿐이라면 그 집은 안전한 곳일까. 할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가장 행복해야 할 길임에도 집안이 안전하지 않다면 그것 만큼 불행한 경우도 없다. 오히려 가족이기에 쉽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 읽고 책을 살펴보니 이 책이 모중석 스릴러 클럽에 속해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추리문학으로 봐야할까. 나는 순수문학으로 읽었다.
가족간의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이 더 어려운 법. 결국 파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는 것인가. 화해의 시도를 할 수는 없었을까. 나는 아무래도 해피엔딩의 소설을 바란 것 같다. 소설의 마지막까지 가슴 졸였다. 한국에 사는 한국인으로서 보는 것도 부조리한데 미국인의 시각을 가진 사람이 바라보는 한국인의 의식은 이해못할 일들이다. 무엇보다 가족을 중요시여기는 미국인의 시각과 부모가 한국인인 재미 한인의 불편한 시각이 부딪쳤던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