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이웃 - 박완서 짧은 소설
박완서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한 불빛처럼 퍼져 오르는 이야기들. 그런 이야기들이 그리운 순간이다. 아마도 정신없이 바빠 몸이 힘들거나 스트레스 받는 일이 많기에 무언가로 위로를 받고 싶기 때문일 수도 있다. 마음에 와닿는 이야기들, 위로가 되는 이야기들. 이런 건 굳이 거창한 글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 에세이처럼 짧은 소설들에서 느끼는 경우도 있다.

 

물론 지금과는 시대가 달라 마치 오래전에 유명했던 드라마를 보는 듯도 하지만 우리 부모 세대들이 그 시절을 거쳐왔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는지도 모른다. 외국의 단편 소설 같은 경우 짧은 글들이 많다. 글이 그렇게 심오하지도 않고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과 감정들을 담은 글이 대부분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단편은 무척 어렵다. 감정들을 문장속에 압축해놓아 긴장을 하며 작가가 숨겨놓은 게 뭘까 골몰하며 읽게 된다.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읽히면 좋으련만 쉽지 않다.

 

최근의 추세는 이처럼 짧은 소설들이 인기다. 아마도 긴 글을 읽을 시간이 부족한 독자들 때문인 것도 같다. 이처럼 짧은 소설이 좋은 이유 중 하나는 아무 생각없이 읽어도 좋다는 데 있다.  몇 꼭지 씩 읽어도 부담이 없다.

 

 

 

1970년대의 이야기들을 담은 소설은 우리 주변의 이웃들의 삶과 닮았다. 그 시절의 가족의 형태, 결혼의 조건, 다양한 사랑의 모습들이었다. 일단 아들이 귀한 집 딸에 다음 번엔 아들을 낳으라며 후남이라는 이름을 지어주는 건 오래전 드라마에서도 나타난 바 있다. 아들과 며느리에게 좋은 시어머니로 남고 싶어 교묘하게 말을 내비치는 부모가 있는 가 하면, 그 시절에도 시어머니 위에 서서 할 말 하며 사는 며느리들도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결혼의 풍속 중에서 궁합이 맞지 않아 포기한다는 이야기는 슬며시 미소가 지어졌다. 지금에야 그런 경우가 없지만, 예전엔 궁합이 맞지 않는다며 반대를 하는 경우가 있었던 것 같다. 궁합이 맞지 않다며 결혼을 반대하는 여자의 말이 이해되지 않은 남자가 점집에 찾아갔을 때 점쟁이가 했던 말은 꽤 일리 있었다. 예부터 궁합이란 원치 않는 청혼을 거절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겨났다는 말이었다.

 

사랑의 소멸과 거기에 따른 편리한 거절의 필요성이라니, 남자가 받을 충격이 이해되는 시점이었다. 지금에야 상대방에게 사랑이 식었다면 문자라던가 카톡으로 헤어지자고 하겠지만 그 시절엔 거절의 말 또한 일종의 서로의 체면을 위해서 그러지 않았나 싶다.

 

 

연작 소설들도 몇 편 있었으니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이  <마른 꽃잎의 추억>이었다. 주인공 '나'는 남편 모르게 간직하고 있는 비밀스러운 소장품이 있다.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라는 시집인데 그것은 총각 시절의 남편이 바친 시집이다. 다른 게 아니라 그 시집엔 '나'를 열렬하게 추종하던 총각들이 졸업식날 바친 꽃다발 중에서 각각 한 송이씩을 눌러 간직하고 있다. 결혼 생활이 무료해져서 일까 꽃잎을 하나씩 꺼내어 보는데 그 사연이 재미있다. 지금같으면야 몇 번이고 바람 핀 여성과 남성이 등장하겠지만 그 시절 만의 순수성이 보였다.

 

짧은 소설을 읽으며 느끼는 게 있는데, 이야기는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늘상 일어나는 일들이 이야기라는 것. 작가는 그 사연들을 수집하고 꿰매어 새로운 이야기들로 탄생시키는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었다. 지금과 시대는 다르지만 1970년대에는 이런 일들도 있었지 하고 받아들이면 현재 스무살인 친구들도 재미있게 읽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2-01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알벨루치 2019-02-01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Breeze님 설연휴 잘 보내시고 언제나 감사한 일상이 되소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