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었는데, 역시나 비슷한 대목에서 감동을 했던지 포스트 잇을 붙이고 있었다. 그리고나서 작년에 썼던 리뷰를 다시 훑어 보았다. 달라진 사실이 하나 있었으니, 작년에 리뷰를 쓸때는 살아계셨던 엄마가 올해는 계시지 않는다는 거다. 포로리와 아빠는 매년 꽃구경을 갔다. 포로리 아빠가 할아버지 병간호를 하느라 못갔던 꽃구경을 나중에야 가게 되었는데 노인네들과 하는 약속은 잊어버리는 게 아니라고 하며 젊은이들에게는 내일 혹은 내년이 있지만 노인네들은 그렇지 않다는 말이었다. 그 말이 나에게 다가올 줄이야. 리뷰를 쓴 뒤 몇개월 뒤에 엄마가 돌아가셨으니 어른들 말은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우리는 왜 잃은 뒤에야 소중함을 깨닫는 것일까. 영원히 살아계실 것 같은 부모가 어느 한순간에 사라진다는 사실이 가슴아프다. 비록 몇 컷의 만화로 이루어진 것이며 동물들의 이야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새겨들을 말이 많다는 것이다.
매일 쓸데없는 짓만 벌이는 것 같은 보노보노와 친구들에게도 그들만의 관계 유지의 기술이 있다. 그건 상대라는 존재를 '그러려니'하는 마음이다. (31~32페이지)
때로 우리는 상대방이 나와 다르다고 그가 없을 때 뒷말을 하고 이해할 수 없어한다. 하지만 사람이란 건 자기만의 고유한 행동이나 생각이 있지 않나. 하물며 가족도 서로 마음이 맞지 않아 티격태격하는데 다른 사람이야 오죽할까. 너부리의 괴팍함이나 보노보노의 소심함을 그러려니 하고 넘기는 것 또한 그를 아끼는 마음이 있기에 가능할 것이다. 그 사람의 고유한 특성을 바꿀 수는 없다. 그 또한 아무리 변하려고 해도 되지 않는 게 있는 것처럼.
각설하고, 이 책을 아직 안보신 분이 있다면 윈터 에디션을 구매해서 보셔도 좋을 듯 싶다. 흰색 바탕에 보노보노가 그려진 표지보다는 윈터에디션이 훨씬 사랑스러우므로. 문득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판본별로 소유한 내가 바보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다. 똑같은 내용의 책을 왜 몇 권씩이나 사는가. 단지 표지가 달라졌다는 이유만으로 말이다.
하지만 책을 그렇게 판본별로 구매해본 사람만이 가지는 즐거움 혹은 행복감이 있다. 소유하고 싶어 손가락이 근질거리고 받았을 때의 기분을 즐기는 것이다. 다시 읽어도 좋은 김신회 작가의 글이었다. 특별한 선물같은 책이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