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봉주르, 뚜르 - 제11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보름달문고 40
한윤섭 지음, 김진화 그림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처음에 별 거 아니였는데 호기심이 생기고, 점점 더 파고 들게 된다.
원인은 하나, 단서는 하나이다. 책상 아래 낙서 "사랑하는 나의 조국, 사랑하는 나의 가족 살아야 한다."
마치 독립운동가처럼 의미심장한 이런 낙서를 쓴 사람은 누구일까? 한국과는 너무나 먼 프랑스의 작은 마을 뚜르에 이런 낙서를 남긴 한국인을 찾아야 한다. 외국에 나가면 모두가 애국자가 된다고 했던가. 봉주는 그 한국인을 찾고 싶었다. 여러가지 가설을 세우고 그 낙서한 사람을 찾는다. 주인에게 묻고, 주변 사람들에게 묻고, 추리한다.
그러나 의외로 그 당사자들은 가까운 곳에 살고 있었고,같은 반 친구 가족이었다. 그 가족은 일본인인척 했지만 알고 보면 북한 사람들이다. 신변의 안전을 위해 일본 사람처럼 행세하며 살고 있었다.
처음에는 봉주를 멀리하던 토시가 공원의 비밀장소를 알려주고 여러가지 가족 이야기를 하면서 우정이 싹튼다.
마치 영화 <JSA(공동경비구역)>의 보는 듯 애잔했다. 12살 소년들이 멀리 프랑스의 작은 공원에서 달리기를 하고 잉어에게 먹이를 던저주며 히히덕 거리는 풍경은 너무나 흔하고 평범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소년이라면 조금은 특별해진다. 이렇게 외국에서는 북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특별한 일이 아닌데 북한의 폐쇄정책, 비밀주의때문에 주민들이 많이 힘들어한다.몰래 망명을 하거나 탈북한 사람은 더욱 그러하지만 그런 사람이 아니더라도 감시가 심해서 자아비판 시간이 있어서 함부로 남한사람을 접하지 못한다고 한다. 영화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화투를 치고 초코파이를 먹고 닭싸움을 하며 해맑게 웃던 송강호와 이병헌의 표정이 떠오른다. 남북문제가 이런 민간사절단, 개인의 힘으로 조금씩 허쿨어지길 바란다. 폭력이나 폭격, 전쟁의 힘이 아니라 문화 교류나 인간 관계로 말이다. 요즘처럼 첨예한 때에 한 번쯤 꿈꿔 볼 만한 내용의 작품이다.
살기위해 먼 타국으로 망명오고 일본인 행세를 하며 살아가는 토시네 가족에게 행운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