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자고 우린 열일곱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2
이옥수 지음 / 비룡소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게 아니라 살아내야 하는 것이다." 

시골에서 청운의 꿈을 안고 서울로 상경한 3명의 청춘이야기이다. 

집이 가난해서 고등학교에 갈 수 없었던 정애,은영,순지는 전자부품공장과 봉제공장을 다니면서 온갖 고생을 한다. 

적은 임금과 야근, 화장실도 제대로 갈 수 없는 열악한 노동환경 속에서 희망의 싹을 키워나간다. 

그녀들의 희망은 명절에 선물 사들고 고향에 내려가고, 매달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붙이고, 돈을 벌어서 학교에 다니는 것이다. 

그 희망을 위해서 아픈 것도 냄새나는 것도, 짜증나는 것도, 인간적 모욕도 감수한다. 

그런데 그런데 모든 것이 허무하게 끝나버린다. 노력해서 무언가를 성취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정말 허무하게 날아가 버린다. 

혼자 남겨진 순지는 말을 잃고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는다. 고향으로 돌아와 가족과 마을 주민들에게 힘을 얻고, 병원에서 치료 받고 다시 살아갈 힘을 찾게 된다. 

책을 읽으면서 성희롱 사건이나 임신, 폭력 사건, 인신매매 사건들이 일어날 것 같아 조마조마했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한 사건들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런 사건들은 인간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가 있다. 치료할 수도 있다. 시간이 걸리지만, 마음의 고통이 남지만 그래도 살아있으니 언젠가는 해결이 된다. 하지만 열심히 살던 아름다운 청춘들이 지하의 감옥같은 기숙사에서 모두 죽어버렸으니 이를 어찌한단 말인가?  

다 읽고 나서 전태일도 생각나고, 어린이집 수련회에 갔다가 아이들이 숙소에 갇혀서 죽어버린 씨랜드 사건도 생각났다. 이천 냉동창고 화재사건도 생각나고, 겨울에 지하 노래방이나 고시원,쪽방등에서 화재가 발생해 많은 인명 피해가 나는 사건들이 떠올랐다. 모든 상황이 그것으로 끝이다.소방시설은 여전히 미비하고 같은 상황은 되풀이되고, 피해자는 늘어만 간다. 

20년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청소년들에게 꿈을 가지라고 말한다. 꿈이 있어야 미래가 있다고 하지만 정말 그 꿈을 이룰 수 있는 여건이 되었는지는 의문이다.그런 여건은 어른들이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들이 좌절해서 길거리로 나가지 않도록 그리고 그 길거리에서 죽어가지 않도록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