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루시아의 가위바위보 ㅣ 창비아동문고 217
김중미 외 지음, 윤정주 그림,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 창비 / 2004년 12월
평점 :
제목을 보아서는 아이들이 놀이를 하는 내용인가 생각을 했었다. 블루시아라는 이름도 특이해서 무슨 내용인가 아리송했었다.
그런데 국가인권위원회가 기획한 책이고 외국인 노동자의 아픔과 고통을 다룬 내용이라는 뒤 표지를 읽고 '블루시아'가 외국이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창비아동문고에는 초등고학년 뿐만 아니라 어른이 읽어도 감동받는 책이 참 많다. 이 책도 그런 책 중에 하나이다. 아동문고하고 하기에는 생각할 내용이 정말 많다. <사이시옷>,<십시일반>,<길에서 만난 사람들>,<국경없는 마을>등에서 인권에 대한 내용을 읽은 기억이 난다. 앞의 두 작품은 만화로 그려져 있지만 외국인 노동자나 비정규직, 여자,장애우 등등 약하고 차별맞는 사람들에 대한 어려움을 아프게 나타내서 정말 가슴이 뜨끔했다. 뒤의 작품은 수필이나 기사처럼 쓰여져 있어서 더욱 사실적이었다. 노후계획을 세우지 못한 노인들의 비참한 삶이나 코시안 가정의 어려움, 외국인 노동자의 고통스러운 현실이 정말 사실적으로 나타났다.
이 책도 그런 맥락에 있다. 다만 아이들을 위한 동화형식으로 그려져 있다. 학교에서 만나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 그리고 한국에서 겪게 되는 한국사람들의 이기적인 행태들 그리고 그속에서 생겨나는 사랑과 보살핌이 작은 감동을 준다.
5편의 단편동화가 수록되어 있다. 김중미의 <반 두비>, 박관희의 <아주 특별한 하루>,박상률의 <혼자 먹는 밥>, 안미란의<마, 마미,엄마>,이상락의 <블루시아의 가위바위보>이다.
김중미의 <반 두비>는 가장 이상적인 우정을 그린다. 민영이와 디아나와의 우정을 통해 가장 이상적인 우정을 나타낸다.
디아나는 방글라데시에서 온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인데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늘 놀림을 받고 무시를 당하지만 민영이의 도움으로 늘 큰 힘을 얻는다. 문화가 다르다고 배척당하는 상황에서 당당하게 이슬람 문화에 대해 발표를 하고 이해를 구한다. 그리고 서로의 언어를 가르쳐주면서 더 많이 이해하고 우정을 쌓는다. '반 두비'는 여자끼리 친구, 우정을 말한다. '아미 또마끼 발로바시(널 사랑해)'
박관희의 <아주 특별한 하루>에서는 몽골 노동자 이야기가 나온다. 빌궁이네 가족 이야기가 나온다. 빌궁도 어렵게 초등학교에 다니게 되었는데 장수진이라는 아빠 다니는 회사 사장 딸과 늘 같은 반이 되어서 불편하고 껄끄럽다. 수진이의 행동이 굉장히 이중적인데 그것이 더욱 빌궁에게 상처를 준다. 어른 있을 떄는 친절한 척하지만 둘만 있을 때는 굉장히 몹쓸 짓을 한다. 수진이의 아버지도 그와 비슷한데, 대 사회적으로는 외국인을 생각하는 양심적인 사업자로 알려져 있지만 속 사정은 그와 다르다. 임금을 억지로 깎고, 오히려 빌려가서 돌려주지도 않는다.
박상률의 <혼자 먹는 밥>은 조금 쓸쓸하다.베트남에서 온 티안의 학교 생활, 부모님 이야기가 나온다. 학교에서 튀기라고 튀김이라고 놀린다. 돈이 없어 준비물도 못 챙겨가지만 열심히 공부하고, 축구를 잘해서 친구들에게 인정을 받지만 학교 생활이 녹녹치 않다. 경준이에게 공으로 심하게 맞고도 아프다는 말 한 마디 못한다. 집에 돌아왔는데 부모님이 모두 불법 체류자로 구치소에 들어가신다. 그래서 저녁을 혼자 먹는다.비상구가 없어서 힘들다. 외국인 노동자의 집이 희망인가? 티안을 행운이 많다는 뜻이라는데 정말 티안에게 행운이 찾아왔으면 좋겠다. 경준이가 사과하고 경준이 아빠가 도와주면 좋으련만
이상락의 <블루시아의 가위바위보>는 독일에 간호사나 광부로 산업연수생으로 일하러 갔던 고모 고모부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산업연수생 이야기를 하고 있다. 같은 입장인데도 우리는 많은 차별을 하고 있다. 고모나 고모부가 40년전에 얼마나 힘들게 그곳에서 생활을 하고 그런 고생이 현재의 경제발전을 위해 얼마나 큰 보탬이 됬는지를 이야기하고 우리가 다른 나라에게 온 산업연수생인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가장 이해하기 쉽고, 절실힌 내용이었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블루시아와 추석에 함께 이야기를 나누게 되고 그의 생활을 엿보게 되고 친분관계를 맺게 된다.프레스 기계에 손이 들어가 손가락을 잃게 되어 가위바위보도 못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주인공이 밤에 꿈을 꾼다. 가위인지 보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을 한다. 그 때 이런 목소리가 들린다.
그가 한국에 머무르는 동안만이라도 이웃 사람들이, 무엇을 잘라내고 베어내는 가위를 빼고, 그의 상처투성이의 주목을 포근하게 감싸줄 보자기가 돼 줄 수만 있다면 인도네시아에 돌아가서도 한국 사람들을 두고두고 그리워할지 모릅니다.
가위를 뺴고 '바위,보'로만 하고 감싸주는 바위와 보로만 존재한다면 좋겠다.
더이상 상처받지 않게 그들이 우리를 안타깝게 여기지 않게, 사랑을 인정을 배우는 한국인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인 스스로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여유를 갖았으면 한다. 민영이나 현아처럼 그리고 독일고모처럼 아픔을 함께 느끼고 보듬어주는 인정을 갖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