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과 한비야의 추천책이라서 읽게 되었다.
표지의 아이 표정이 너무 슬퍼서 계속 쳐다보게 된다. 앞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기운이 없어서 크게 울지도 못하고 멍하니 눈물 한 줄기를 흘린다.
왜? 세계의 50%나 되는 사람들이 굶주려야하는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열심히 읽었다.
답을 알고 놀라서 입이 쩍 벌어졌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사회적 구조와 힘의 원리, 기생하는 부정부패 관리들의 행태를 보고 놀라 넘어졌다.
그런 현실을 보고도 대안을 찾는 지글러나 혁명가들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
뜬구름 잡는 식의 정서적인 대응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아. 배고픔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격을 가하고 있어. 기와와 그 끔찍한 결과는 세부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필요로 해.
하지만 학교는 침묵하고 있어. 그들은 마땅히 해야 할 바를 하지 않고 있지. 그런 탓에 학생들은 모호한 이상이나 현실과 동떨어진 인간애를 가지고 졸업할 뿐, 기아를 초래하는 구체적인 원인과 그 끔찍한 결과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한단다.
그런 기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닌데 알고 실천할 수 있는데 기득권을 가진 자들의 횡포로 모든 시도가 물거품이 되는 상황을 보아야만 한다. 거대 기업과 정치권의 합작으로 혁명가의 시도가 암살로 끝나고 또는 국가가 기아를 이용하여 국민들을 정치적으로 결속시키고, 부지런하고 능력이 있는데도 여러가지 이권등으로 수출 곡물만을 키워 국민들이 굶주리게 하고, 환경을 파손하여 더 큰 기아를 만든다.
더 큰 것은 늘어나는 지구인구의 조절을 위해 기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들까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자연적인 인구조절이 없다는 지구는 수많은 인구로 폭발할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사이비 이론에 많은 사람들의 심리적인 안도를 얻고 있다니 기가 막힌다. 사람들은 그런 이데올로기 안에서 자유를 찾고 그래도 괜찮다는 근거를 만든다.
긴급구호에서 오는 모든 지원들이 적극적으로 필요자들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포식자들에게 모두 빼앗기고 오히려 싸움을 일으키는 독재자들의 배를 불리고 있다니 기가 막힌 노릇이다.
모르는 것이 약이다. 알아서 잘하겠지라는 무관심한 생각들은 정말 섬뜩한 결과를 초래한다. 두 눈을 뜨고 잘 살펴보고 관리를 해야 한다. 그리고 어차피 도움이 안 될거라 포기하지 말고 이러저러한 과정이 있더라고 단 하나라도 기아를 도울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래도 원조를 계속하는게 옳은가요?라는 아들의 질문에 지글러가 한 대답이다.
구호단체는 극단적인 조건에서 활동하고 갖가지 모순들과 싸워야 해. 그러나 어떤 대가도 한 아이의 생명에 비할 수는 없어. 단 한 명의 아이라도 더 살릴 수 있다면 그 모든 손해를 보상받게 되는 것이지.
한비야의 <지도밖으로 행군하라>를 읽고 월드비전에 지원하는 구좌를 만들었다. 세계의 아이를 내 품에 안는 것처럼 큰 기쁨을 얻었다. 정혜영과 션 부부는 매년 매일 만원씩 모은 돈으로 무료급식같은 봉사를 한다.크리스마스가 되면 형식적인 불우이웃돕기를 하고 없던 봉사들이 이어진다. 그런 일들에 대해 생색내기다, 허식이다,거짓이다 말이 많지만 그런 노력이라도 없다면 기아를 어찌할 것인가.
그 어떤 이론도 한 아이의 생명과 바꿀 수는 없다. 작은 관심에서 시작해서 모든 사람의 마음 변화를 꾀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정말 고통스럽게 읽었다. 이 책은 매우 날카롭고 침울하다. 하지만 방법이 숨어 있어서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