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련님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31
나쓰메 소세키 지음, 오유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학교 선생님 이야기 

그것도 총각 선생님 , 24살 아이고의 학교 체험기이다. 

영화 <내마음의 풍금>에서 이병헌은 정말 멋진 총각선생님으로 시골처녀 전도연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선생 김봉두>에서도 선생님 차승원이 처음에는  돈만 생각하는 못된 선생이었지만 끝에는 정말 멋진 선생님으로 거듭난다.  순수한 아이들떄문에 선생님이 교화가 된다. 그리고 마지막 졸업식을 하면서 더이상 시골 학교 선생을 하지 못하는 것을 슬퍼한다.

또한 섬진강 시인 김용택도 마암분교 아이들과 함께 자연과 함꼐하는 순수하고 맑은 이야기를 이야기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그렇게 될 것을 기대했다. 선생님의 열정적인 수업이나 교육적 분위기 그리고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기대했다.  

그러나 이 작품에는 열정적인 선생님도 한 명 나오지 않고 순수한 학생도 눈을 씻고 찾아도 없다.  

이야기는 내가 생각했던 방향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었다. 

이 작품은 학교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야할 것이다. 이 책에는 각종 이상한 캐릭터들이 총집합하여 등장한다. 중간중간 아이고의 냉소적인 말투가 나오기는 하지만 시종일관 암담한 분위기였다. 

주인공이자 서술자인 아이고는 어려서 온갖 문제를 일으키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을 벌인다. 아이고는 부모를 일찍 여의고 형과도 헤어지고 혼자 학창시절을 보낸다. 그의 곁을 지키고 그를 생각하는 사람은 유모였던 기요밖에 없다. 기요가 없었다면 아이고는 혼자 외롭게 더욱 우울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는 돌아갈 곳도 찾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처음으로 직장을 얻은 것이 시골학교 선생님이었다. 바라지 않았지만 어찌어찌 하다보니 그냥 그렇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다양한 선생님들을 만난다. 시골이라서 더 부패하고 부조리한 상황들이 계속 일어난다.  

이 부분에서는 오쿠다 히데오의 <면장선거>가 생각났다. 희안한 의사 이라부가 나오는 작품인데 <면장선거>에서는 료혜이라는 우유부단한 공무원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외딴 섬에 발령이 나서 4년마다 하는 면장선거떄문에 많은 일을 겪는다. 마을 전체가 두 편으로 나뉘어 선거운동에 참여한다. 각 진영에서 주인공에게 한 표를 요구한다. 그냥 요구수준이 아니라 협박과 회유이다. 심약한 주인공은 정신치료까지 받아야 할 상황에까지 간다. 

시골, 외딴 섬이라서 사람들의 성향이 더 급하고 강하다는 생각을 했었다. <도련님>에서도 시골의 작은 학교라서 온갖 속임수와 편법, 주먹구구식의 학교 경영이 이루어진다.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새로 온 선생님에 대한 예우나 애정보다는 지나친 관심과 조롱이 판을 친다. 

작은 시골 마을에서 아이고가 하는 행동들이 모두 다음날 교실에서 놀림거리가 된다. 튀김국수를 많이 먹은 것, 당고를 먹은 것, 온천 갈 때 빨간 수건 가져가는 것, 욕탕에서 수영하는 것까지 알고 모두 수업시작 할 때 칠판에 쓰고 놀린다. 이정도면 인간 cctv라고 해도 되겠다. 숙직날 있었던 메뚜기 사건으로 학생들의 징계와 공개 사과도 있었지만 선생님에 대한 예의, 사랑은 생기지 않는 모양이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시골 학교의 선생님들과 마을 사람들이다. 

마치 짱구나 도라에몽에 나오는 특이한 캐릭터들이다.  

아이고는 부임하자마나 교사들에 대해 별명을 짓는다. 교장은 교활한 너구리, 교감은 맨날 빨간 셔츠만 입고 다녀서 빨간 셔츠,, 영어교사는 얼굴이 누렇게 떠서 끝물 호박과 같다. 수학교사는 거센 바람, 미술교사는 떠버리이다. 

처음에 들어간 하숙집 남자 주인 이카긴도 웃기다. 남의 방에 먼저 들어와 남의 차를 마구 마시며 자신이 소유한 골동품을 매매하려는 것이 황당하지 않은가. 

아이고는 끝물 호박이 자신이 원하지도 않는데 전출되는 모습을 보며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교감의 교활한 술책을 파헤치고 끝물 호박을 동정하지만 속수무책이다. 그래서 거센 바람과 교감을 보내버리려고 미행을 하고 잠복을 하지만 여의치 않다. 

그러다가 오히려 기념식 행사날 학생들의 싸움에 휘말려 지역신문에 아이고와 거센바람에 대한 안 좋은 기사가 나서 거센바람이 빨리게 되는 상황까지 처한다. 

그런데 교장과 교감은 거센바람만을 해임하게 한다.이런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아이고는 절규한다. 

 

도대체 시골 학교는 왜 이따위 이치에 맞지 않는 짓을 하는 거지? 말도 안 되는 이 놈의 학교 젓거리에는 정말 신물이 난다니까 

 

그리고는 교감의 연애하는 장면을 포착하여 실껏 때려주고는 그 마을을 떠난다. 기요에게 돌아가 이야기한다. 

이젠 시골에 안 갈거야. 도쿄에서 기요하고 같이 살 거야

 

일본의 만화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유머와 비판정신이 이런 소설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느꼈고, 지방 자치 단체에 대한 감찰이나 감사가 꼭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리고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부조리 분위기도 생각해보었다. 일부의 사람들의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사람을 함부로 부리고 보내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았다.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을 통해 일본 문학의 분위기를 느낀 것 같다. 약간은 냉소적이고 비판적인 분위기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