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9년 1월에 출간된 책이다. 겨울방학때 한참 광고를 했었다. 

그 떄는 표지만 보고 수필집일거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림이 서재가 나오고 언뜻 여자가 자신의 책에 대한 이야기, 일상이야기를 할거라 생각했다. 제목도 <책과 노니는 집>아닌가? 책을 벗삼아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이야기할거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아니었다. 창작 동화였다.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초등학교 5,6학년 수준에서 읽을 수 있는 <보름달 문고>였다. 

우선 이 책을 대충 훑어 보면서 그림에 감동을 받았다. <엄마 마중>을 그린 김동성님의 그림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꼬마 아이가 전차 역 앞에서 엄마를 기다리는 모습이 정말 눈물 한 방울 똑 떨어지도록 감스 아팠다. 그리고 마지막 눈이 내리는데 엄마의 손을 잡고 집으로 돌아가는 장면이 어찌나 행복하던지. 혼자 배시시 웃었었다. 이 책에서도 그의 그림이 빛을 바란다. 그림 전시회라도 한 번 열었으면 한다. 동양화에 관심이 없었는데 그릠 그림을 보고 동양화의 매력에 흠뻑 빠진다. 생각보다 색채도 다양하고 따듯함, 애절함이 느껴지는 감동적인 그림이었다. 

글은 조선시대 후기를 배경으로 천주교가 막 퍼지기 시작하여 기생이나 천민들이 천주교 관련 책을 읽으며 믿음을 키우고 평등, 평화에 대해 인식을 넓히는 때의 이야기이다.신분이나 계급의 이야기가 아닌 사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정말 금방 빠져드는 재미난 이야기이다. 

장이와 낙심이의 아웅다웅 애정도 귀엽고 약재책방의 주인 최서쾌 아저씨 그리고 홍교리의 따뜻한 마음도 감동을 준다. 그리고 지금이나 그때나 있었을 법한 나쁜 놈 앞잡이 같은 놈 허궁제비도 악인으로 재미를 준다. 

언문에 대한 우리 문화에 대한 사랑을 알게 하는 멋진 동화이다. 필사쟁이, 전기수가 주인공인 최초의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고전문학을 맛깔나게 이야기한 전기수나 그것을 일일이 손으로 옮겨쓴 필사쟁이가 조선후기의 중요한 문화 아이콘이었다는 것은 확실하다.책을 좋아하고 읽고, 보관하고 전하는 문화는 조선후기에도 많았다는 생각을 든다.  나도 어쩌면 책을 가지고 놀고 있는 것일 것이다. 이런 리뷰를 통해 책 이야기를 하고 소문을 내고 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