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의 창녀 - 20세기 지식인들은 무엇을 했나
카트린느 클레망 지음, 채계병 옮김 / 새물결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빨리 읽어낼 수는 없다.
프랑스 철학 입문서쯤으로 생각하는 건 분명 오해다..
그렇지만, 읽는 내내 즐거워져서 오래 오래 읽어도 좋았다.
철학 입문서 쯤으로 생각하고 한꺼번에 많이 알아버릴 거라고, 다른 누군가의 인용에 주눅들지 않을 거라고 읽게 시작했을 거다.그렇지만, 읽으면서 그런 마음 누그러지고 기뻤다. 철학이란 걸 밑줄치고 외워야 하는 조금은 따분하고 생활과 동떨어진 거라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가 '아우슈비츠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가 지식인이 된 것'이라고 말하는 데 기분이 좋아졌다.
세상사의 불합리, 이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들- 일종의 광기들-을 설명하려는 노력들이란 것 때문에 한없이 가까워진 기분이 되었다. 부모님세대에 아우슈비츠를 겪고, 다음(?) 세대들의 68년을 겪은 철학자가 평생을 알고 지낸 철학과 철학자들의 면면, 그들을 어떤 태도로 알고 사랑했는지 듣는 건 좋았다.
자신이 어떤 강박에 시달리는지, 또 다른 철학자가 어떤 강박에 시달렸는지, 누군가의 죽음이 왜 그렇게밖에 독해되지 않는지 하는 그런 심상들... 어떤 식으로 그들이 자신의 믿음에 고집스러웠는지 하는 것들.. 삶에서 그들은 자신의 철학을 어떻게 실천하려 했는지 하는 것들..
이성이라는 악마의 창녀에 속한 자기 자신에 대한 강박이 미세한 감정결들 때문에 떨리는 걸 보는 것도, 가끔 이성으로 선택할 수 없는 순간 '선택해야 했다'라고 말하는 걸 보는 것도 좋았다. 배움을 청한, 지적으로 열등한 나에게 '욕망이란 사람들이 갚고 싶은 것과 아직 소유하지 못한 것을 쑤셔넣는 말의 바랑이다'라고 말하는 철학선생님을 만나는 것도 좋았다.
좋았던 구절 찾아서는 보여주고 싶다고 뒤적이다가, 다시 읽을 때는 내 감정결대로 읽어낸 부분들 대신 인용할 만한, 지적 허식을 위해 차려 입을 만한 '철학'이란 것도 발견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을 했다.
오래 걸려서 아직도 읽고 있지만, 난 별로 유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