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다, 이것은
위험한 마음 - 썩어빠진 교육 현실을 유쾌하고 신랄하게 풀어낸 성장소설
호우원용 지음, 한정은 옮김 / 바우하우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교육이 문제,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

그건, 노동조합이 들고 선 피켓 때문이었다.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는 조합 간부가 정부청사 앞에 들고 선 피켓에는 여덟살 쯤 되어보이는 아이가 뚱한 표정으로 '성과연봉제? 그럼 엄마, 아빠는 몇 점이고 몇 등이야?'라고 묻고 있었다. 투쟁소식을 알리는 메일에서 그 피켓을 보는 순간, 나는 죄스러운 마음이 되었다. 지금 내가 반대하는, 절대로 안 된다고 말하는 그걸, 나의 아이는 학교에 들어선 순간 매일, 매일 받고 있구나 싶어서였다.

그 마음을 말해주고 싶었다. 미안하다고, 교육을 바꾸자고. 그런데, 머릿속에 맴도는 생각을 말하기가 너무 어려웠다. 내가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는 그 많은 이유 그대로, 가르치고 기르는 게 교육이라면 지금의 교육은 교육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었다. 살아가는 법도, 살아가는 힘도 가르치지 못하는 그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런 말을 해 줄까 하고 서점에서 새로 나온 노작가의 책을 펼쳐 봤었다.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기도 전에, 여성혐오를 만나는 바람에 그 책에 실망해서, 오래 전 이 책을 다시 펼친 거다. 심지어 여성혐오와 교육문제는 함께 나온 문제라고 까지 생각했다. 짱구를 봤을 때 뒷걸음치게 하던 여성혐오적 묘사까지 떠오르면서, 위계적이고 강압적인 동아시아의 교육이 문제다,라는 식으로까지.

 

이 소설은 고등학교 입시가 있는 대만에서 중3인 아이가 화자로 등장한다. 선생님이라고 해서, 인격적으로 완성된 인간이 아니라는 걸 아이들도 안다. 위계적인 권력을 용인하고 입시만이 제일 중요한 교육제도 안에서 교사나 학생이나 학부모나 누구라도 공범이 된다. 우리나라라고 다르지 않다. 입시성과가 가장 좋은 선생의 반에 저자세로 아이를 밀어넣었던 엄마는, 싸움의 과정에서 아들의 성장을 본다. 늘 아이로 생각하던 아버지조차, 아들이 자랐다는 걸 깨닫는다. 승리할 수 없는 공범이 아주 많은 싸움의 끝에 아이는 말을 잃는다. 그렇지만 이건 성공이나 실패의 이야기는 아니다. 살아있고 살아간다. 교육은 교과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