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꽃나무 우리시대의 논리 5
김진숙 지음 / 후마니타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데, 이 책을 보면, 내가 내 자신을 노동자라고 호명하는 게 옳은가,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이 그리 좋지만은 않았고,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내게 '구식'으로 느껴졌다.  

국방부 불온서적으로 선정되어 메인에 올라 있는 내내 나는 표지가 무엇인지 알아차리지 못했다. 거미줄인가? 거미인가, 겨울에 창에 낀 성에인가, 아무리 보아도 알 수 없던 걸 실물을 앞에 두고 알았다. 사람의 뒷모습. 땀으로 절었을 뒷머리와 등을 하얗게 탈색시키고 남은 윤곽. 그렇게 그대로 사람이면서 소금꽃나무가 되는 노동자의 뒷모습.

용산에서 벌어진 일들을 전해 듣고 보면서, 나는 그 분들이 그 상황이 닥치기 전까지 자신을 '철거민'이라고 호명한 적 없었을 거란 생각을 했다.  그리고, 같이 근무하는 비정규직을 비정규직이라고 생각지 않는, 자신을 노동자라고 생각하지 않는 노동자를 또 만난다. 목전에 칼날이 닥치기 전에 나의 이 자각이란 것도 입으로만 머리로만 하고 있는 것이란 걸 나도 안다. 그런데, 이런 책을 만나면, 나는 나의 자각이 옳은 것인가, 생각하는 것이다. 나와 너무도 다른 상황, 나와 너무도 다른 어떤 것들 때문이다. 그것은, 그대로, 그럴 수 있음에도, 내가 나를 똑같은 이름으로 부른다는 것은 다른 식으로 그분들께 누가 되지 않나, 싶은 것이다. 전형적인 블루칼라 노동자, 지금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노동운동을 하는 이 여성노동운동가에게 그런 의도는 전혀 없었을 테지만 말이다. 

글은 다른 식으로 멋을 부린 인상을 주고, 상황은 지나치게 암담하여 우울하다. 노동, 더 정확히는 육체노동을 하는 노동자의 심성에 대한 말들은 또 다시 나에 대한 자각과 어떤 미안함을 가지게 하고, 그만큼의 거리를 만든다. 그래서, 한 사람 더 동조자를 만들어, 자기 곁에 세우고 싶었을 이 운동가는 노동자를 어떤 신성화된 무엇으로 형상화하여 내가 무얼 해'주어야 하나'하는 이상한 고민을 하는 자신이 '노동자인지 회의하는' 독자를 하나 보태어버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루다 2009-05-23 0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앞서 '구식'으로 느껴졌다는 말, 백 번 동의합니다. 그런데 그 구식이 읽는 내내 가슴을 아프게 찔러대서 괴로웠어요. 죽도록 고생만 한 늙은 부모의 그 삶이 환멸스럽다가도 가슴 저릿하게 아픈 것처럼...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