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 딸이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이 너무 재밌다고 도파민 폭발,이라고 했다. 너무 오래된 책이라, 새삼 놀라면서, 지금 뒤늦게 호응하는 독서가들도 궁금하고 해서 읽기 시작했는데, 겨우 겨우 읽었다.
책이 처음 나왔을 때도 핫했는데, 그 때도 읽어보려고 했었다는 걸 읽기 시작하고 생각났다. 모르는 이야기가 아닌데, 싶더라. 그 때는 음, 스물일곱에 자가용을 몰면서 월세를 받아 사는 젊은 여자의 도입을 참아내질 못한 거 같다. 게다가 그때의 나는 페미니즘에 경도되어 있었으니 그 여자가 제도권 페미니스트,들을 조롱하는 것도 기분나빴을 거다. 여러 종류의 감정으로 젊은 나는 이 책을 보다 말았지만, 지금의 나는, 딸이 좋아한 건 뭘까, 궁금하고, 지금 다시 이 책이 핫하다는 것도 궁금해서 끝까지 읽었다. 그러고도 결국 모르겠다,고 투덜거렸다.
어쩌면 궁극의 미러링?인가, 싶은 내용이지만, 어디서 도파민이 터지는 거지.
그러고는, 미친 사람이 쓴 건 못 읽겠어, 게다가 삶의 수고로움이 없는 주인공은 재수없어, 라고 딸에게 감상을 말했다.

미친 사람이 화자인 이야기, 나는 못 읽겠어,라는 나의 말에 딸은 다른 이야기를 하나 더 알려줬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이란 책 뒤에 직소,라는 단편이 붙어 있다고. 가롯 유다, 관점에서 쓴 이야기라고, 재밌었다고 했다.
그래서, 읽었다. 단편이라니, 좋아,라면서 읽었다.
다 읽고는 말했다.
멀쩡하던데??
직소의 화자는 강민주,처럼 단호한 확신이 없다. 강민주가 가지는 자기확신, 을 나는 혐오한다. 상대를 돈으로 호감으로 조종하면서, 스스로를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그 말들이 싫었다. 생각해보면, 강민주가 그대로 화자가 아니라, 약간은 강민주를 비추는 작가시점이라 그런 걸 수도 있다. 강민주가 주인공인데, 화자는 아니야. 그런데, 강민주는 자기확신에 도취된 스스로 교주같은 인물이니까 내가 못 봐주겠는 거다. 이입할 수도, 응원할 수도 없다. 그런데, 직소는 화자이면서 주인공이니까, 그 모든 스스로의 혼란이 드러나고, 나는 그 혼란에 이입할 수 있는 거지. 갈팡질팡, 우왕좌왕.
어찌보면, 직소는 강민주의 숭배자가, 강민주를 쏘고 나서 하는 긴 고백같다고도 볼 수 있는데, 나는 스스로를 신격화한 존재에 이입하기 보다, 내 옆의 범부에게 더 이입하기 쉬운 인간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