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딩씨 마을의 꿈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자음과모음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서 아빠 생각이 많이 났다. 

내가 언니와 여동생과 남편과 명절에 모여서 회사에 싫은 사람 흉을 볼 때 그러지 말라,고 그러면 안 된다던 아빠, 데모하고 뉴스에 목청을 높이는 나에게 정치란 네모난 그릇에 둥근 국자로 물을 푸는 것 같은 거라던 아빠 생각이 났다. 언니랑 싸우고, '요즘 사람들은 돈만 주면 뭐든 시키려고 한다'며 화를 내던 아빠, 여동생이 배가 불러 결혼식을 한다고 동네 창피하다던 아빠 생각이 났다. 태어난 동네에서 초등학교 동창인 엄마와 결혼해서 죽을 때까지 살았던, 아빠 생각이 났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세대차이가 나고, 가끔 어떻게 설명하지, 싶은 순간들에 아빠와 싸우던 내가 겹친다. 이제 나도 아빠처럼 이해받지 못하는 어른이 된다. 사람들이 귀를 쫑긋 세우고 들을 만하게 이야기는 하지 않고, 그래, 나도 안다,고 건성으로 흘려들을 말이나 하고 있다. 

  

이야기 속의 화자는 열 두 살에 이미 죽은 아이인데, 아이가 묘사하는 할아버지가 아빠 같았다. 

아이의 할아버지는 외부적으로 부여하지 않았어도 권위를 가진, 작은 촌 동네의 글을 아는 사람이다. 거대한 국가의 권위가 작은 마을까지 미치지 못할 때에 사람 사이의 문제에 대해 청하여 듣는 사람, 선생들이 자리를 비운 학교에서 글자를 가르치는 사람. 그러고도 자신의 아들들 일로 머리를 조아리며 마을 사람들에게 사과하는 사람이다. 

이야기는 그런 할아버지가 결국 자신의 아들을 죽이는 것으로 닫는다. 변하는 세상 속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라는 걸 과연 아이들과 공유할 수 있을까. 무섭다. 


자오더취안에게는 자오씨우친 같은 담력과 기개가 없었다. 원래 사내들은 여자들 같은 담력과 기개를 갖추고 있지 못했다. 그의 얼굴은 창백하면서도 누리끼리했고, 위층에서 걸어 내려오는 모양새가 형장으로 끌려가는 수인 같았다. -28%(p372~373)


"딩 선생님, 선생님께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나무가 다 베어져버리면 마을이 마을 같지 않을 거예요. 저는 관을 만들지 않아도 좋습니다. 사실 저는 죽기 전에 집사람에게 붉은 비단 저고리를 주고 싶었어요. 이 일은 결혼하기 전에 집사람에게 약속한 일이거든요. 사람이 죽고 나면 관이 다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마을 나무가 전부 베어져버리는데 말입니다." - 56%(p 738-739)


그녀는 눈빛으로 삼촌을 압박했다. 삼촌이 목을 들이밀기만 하면 자신도 곧장 밧줄 안으로 목을 들이밀 작정이었다. 상황은 이미 죽음 쪽으로 몰려가고 있었다. 죽음 쪽으로 밀리고 있었다. 죽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때 우리 삼촌은 얼굴에 웃음을 보이고 있었다. 아주 못된 웃음, 장난기 섞인 웃음이었다. 삼촌이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하루라도 더 살 수 있으면 살아야지. 정 가고 싶으면 링링이 먼저 가. 나는 더 살아야겠어." -70%(p924-925)


할아버지가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입을 열었다. 

"쓸 만큼만 있으면 되지 돈이 이렇게 많아서 어디에 다 쓸꼬?"

아버지가 난처한 표정으로 말했다. 

"이 열병이 끝나지 않으면 어떻게 해요? -89%(p118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24-12-07 1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신약에 대한 기대감으로 공연을 준비한 마샹린과 아내에게 선물할 붉은 비단 저고리를 훔친 자오더취안이 아련하더군요.
이렇게 좋은 책이 왜 중국에서 금서로 지정되었는지 모르겠어요. 물론 풍자와 은유로 읽힐 부분도 일부 존재하지만 그 정도도 허용 못하는 사회라니...

별족 2024-12-08 09:57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공산주의,의 한계,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