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페이퍼로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이문영 지음 / 페이퍼로드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리는 시간을 딸'을 다시 읽으면서 그 속에 역사가의 정의에 동의할 수 없었다. 


"역사가는 그들이 무엇을 생각했는가 하는 점을 씁니다. 하지만 조사원은 그들이 무엇을 했느냐, 하는 것을 쫓지요."-p132


역사에 대해 말하는 것에도 의아한 마음이 되었다. 


"역사학자는 펜을 들기 전에 심리학을 좀 배워야겠는걸."

"그렇게 하도록 해도 그들에게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정말 살아있는 사람에게 흥미를 갖는 이는 역사 따위를 쓰지 않습니다. 소설을 쓰거나, 정신과 의사가 되거나, 치안판사가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기꾼이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기꾼이 되거나 또는 점쟁이가 되겠지요. 인간에 대해 정말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역사를 쓰려는 동경심 따위는 갖지 않습니다. 역사는 장난감 병정과 같으니까요."-p244


소설 책 속의 역사가는 아마도 위서를 만들어 거짓을 진실인 척 꾸며내는 사람들인가?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역사를 조작하는 사람들인 걸까? 내가 생각하는 역사가,는 진리는 시간의 딸, 속의 역사가가 아니다. 내가 생각하는 역사가는 사실들을 확인하고 또 확인해서 그것들로 씨실과 날실을 짜서 과거의 이야기들 가운데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는지 모색하는 사람들이다. 역사는 장난감 병정이 아니고, 지금의 우리를 비추는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거울과도 같다. 

초록불님 블로그(http://orumi.egloos.com/)로 알고있는 이문영님의 '하룻밤에 읽는 한국고대사'를 읽었다. 역사는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소설가가 쓰는 고대사는 비어버린 기록의 틈들 가운데, 그래도 살아남은 이야기,들로 채워졌다. 신라의 삼국통일로 크게 남아 있지 않은 고구려사가 새삼스럽지 않은 것은 만화 바람의 나라,-기억하는 장면은 해명과 어린 무휼이 이야기나누는 장면이다- 때문이구나. 역사란 이야기가, 현실에 경각심을 줄 수 있도록 역사를 가리지도 비틀지도 않아야 한다. 가리지도 비틀지도 않아도 해석이 달라진다는 게 역사지만, 그래도 남아있는 이야기들 가운데, 무언가 인간에 대한 어떤 생각은 권력에 대한 어떤 생각은 위태로움과 번영에 대한 경각심은 가능해지는 게 아닌가도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2-02-10 22: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난번에 제 페이퍼 오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모르고 있었는데, 댓글 읽고 수정할 수 있었어요.
별족님, 따뜻하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별족 2022-02-11 05:55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