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반 일리치 전집
이반 일리히 지음, 허택 옮김 / 사월의책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에 대해 쌓인 불만을 가지고, 두 권의 책을 골랐다. 한국철학자가 쓴 표류사회와 이반일리치가 쓴 젠더다. 표류사회를 먼저 읽었고, 젠더를 읽었다. 

재미있게 읽었다. 이반 일리치는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를 읽은 적이 있다. 이반 일리치의 첫 책도 가능할까 싶지만 뭔가 애닲은 마음이 되면서 읽었는데, 이번 책도 그랬다.  (https://blog.aladin.co.kr/hahayo/7237597

가정을 꾸리기 위해 분업을 택하고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다른 가치로 작동하는 작고 견고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애쓴다. 사회에서 경쟁하는 노동자가 아니라, 가족 안에서 공조하는 남자와 여자가 되어 다시 사회에서 다르게 해석되는 엄마와 아빠로 세상을 이해해나간다. 이전과 똑같을 수 없는 엄마가 되어, 이전과 똑같은 공정을 원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짐을 지고 세상을 건너는 동지애를 느끼며 남편을 보고, 아이들에 대한 어떤 태도 가운데는 더 큰 공동체에 대한 기대를 가진다. 가정은 사회에 다른 가치관으로 작동하는 공간이라고, 남성과 여성이 사회를 보는 다른 시선을 알아차린다. 관계를 버거워하면서 고립되고자 하는 욕망들을 볼 때마다, 안쓰러운 마음이 되기도 한다. 가정이 사회로 확장되는 것이, 사회적 기준이 가정을 물들이는 것에 거부감을 가진다. 아이들이 속한 가장 작은 공동체인 가정에서 안주인으로서 권력을 행사하고 싶어한다. 아이들에게 가지는 나의 권력이 나의 수고 가운데 있는 거라는 걸 자각한다. 

내게 충고하는 이들의 말을 곰곰이 들어보니 그들이 내 강의에 왜 그렇게 불편해 하는지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내 논지가 그들이 꿈꾸는 것들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었다. 페미니스트는 성 역할을 강요받지 않는 젠더 없는 경제를 꿈꾼다. 좌파 운동가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게 정치 경제의 주체가 되는 사회를 꿈꾼다. 미래주의자는 사람들이 마음만 먹으면 의사, 남자, 개신교도, 유전공학자 등으로 자신의 역할을 바꾸고, 무엇을 골라도 똑같이 대접받을 수 있는 사회를 꿈꾼다. 그러나 성의 관점으로 경제학을 들여다 본 결론은, 간단히 말해 이런 꿈들이 여지없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들이 꿈꾸는 욕망은 모두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젠더 없는 경제‘이다. - P22

하지만 서비스 전문가들이 정당성을 인정받으려면 그들의 전문가적 진단에 숨어있는 인종주의를 들키지 않도록 믿음직한 수사법을 구사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조잡하기 짝이 없는 이 새로운 사회생물학에 대한 논쟁을, 인간의 ‘우열‘을 측정하는 일보다 인간에게 ‘필요‘를 심어주는 일에 있어 전문가적 풍모를 갖춘 내 동료들 곧 교사, 의료인, 산부인과 의사, 사회사업가에게 맡기려는 것이다. 이들은 나름 과학적이라고 하는 진단을 통해 타인을 자기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소비자로 전락시키는 법을 잘 아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이런 자신감에 붙어있는 그들의 사욕으로 말미암아 그들의 교묘한 등급 매기기 능력도 타격을 입을 것이고, 그들 역시 조잡한 사회생물학적 성차별주의와 다를 바 없다는 점도 공공연하게 알려질 것이다. - P77

여자의 임무 중에는 세리로부터 집을 지키는 일도 있었다. 여자 혼자 집에 있다고 우기면 세리는 집안으로 들어올 수 없었다. 아이가 명백한 잘못을 저지른 경우에도 여자는 아이의 편을 들었다. 필요하다면 손톱과 이빨을 세워서라도 적에게 맞서라는 것이 여자에게 요구되는 도리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자가 지켜야 할 도리는 정반대였다. 여자가 아이를 감싸더라도 남자는 아이의 잘못을 꾸짖고 때로는 가혹하게 벌을 주는 게 올바른 태도였다. - P115

젠더가 다스리는 곳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집단적으로 서로에게 의존하므로 서로 싸우고 빼앗고 물리치더라도 어느 선을 넘을 수 없다. 토박이 문화란 간혹 비정할 때도 있지만 양쪽 젠더 사이의 휴전이다. 남자들이 여자들의 몸을 망가뜨리는 문화에서도 규방에서는 남자의 감정에 극심한 고통을 가해 앙갚음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이러한 휴전과 달리 희소성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남녀 간 전쟁이 끊이지 않고, 여자들은 늘 새로운 패배를 당한다. 물론 젠더가 다스리는 곳에서도 여성은 종속적일 수 있다. 그러나 경제가 통치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여성은 오로지 제2의 성일 수밖에 없다. 여자들은 젠더 없는 판돈을 건 이 도박에서 이기든 지든 영원히 불리한 위치에 선다. 이 도박판에서 양쪽 젠더는 발가벗은 채 중성을 하고 있지만, 결국 승리하는 자는 남자다. - P184

지금까지 나의 논의는, 젠더에 기초한 자급자족적 사회가 희소한 생산품에 의존하는 사회로 역사적 이행을 했다는 데 기초한 것이었다. 희소성 역시 젠더나 성처럼 역사적인 것이다. 희소성의 시대는 오로지 다음과 같은 가정 위에서만 출현할 수 있다. 인간이란 개별적으로 살아가는, 소유하는 존재이며, 물질적 생존의 측면에서 젠더 없는 존재라는 가정이 그것이다. 즉 인간이란 탐욕스런 경제적 중성이라는 가정이다. - P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